▲ 김경수 경남지사가 '2020 한일해협연안 시도현지사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경남도
▲ 김경수 경남지사가 '2020 한일해협연안 시도현지사 화상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 경남도

김경수 경남지사가 한일해협연안 시도지사 화상회의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핵심가치는 연대와 협력'을 강조했다.

김 지사는 27일 진행된 '2020 한일해협연안 시도현지사 화상회의' 의제발표를 통해 "코로나 대응 과정에서 민관의 협력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경험했다"며 "사회적 대화와 타협, 시민들의 참여, 시민과의 협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지사를 비롯해 변성완 부산시장 권한대행, 김영록 전남지사, 원희룡 제주지사가 한국 대표로 참석했다. 일본은 오가와 히로시 후쿠오카현지사, 야마구치 요시노리 사가현지사, 나카무라 호도 나가사키현지사, 무라오카 쓰구마사 야무구치현지사 등 8개 회원 시도현지사가 모두 참석했다.

'한일해협연안 8개 시도현 교류 지사회의'는 1991년 한·일 외무부장관 회담때 합의돼 1992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2018년 부산, 지난해 나가사키 등 한 해씩 양국을 오가며 진행되는 가운데 올해 회의는 경남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해 29회째인 본 회의는 내년으로 연기됐고 특별 화상회의로 진행됐다.

김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92년부터 시작된 회의가 코로나라는 세계적인 위기 속에서도 중단되지 않고 영상으로나마 진행된 것은 대단히 의미 있고 뜻깊다"며 "한일 양국간 7개월 가까이 입국이 제한됐다가 지난 8일부터 기업인 특별입국절차가 시행된 것을 환영하며 지방정부 간 상호교류도 활발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회의는 8개 시도현의 의제 발표와 자유토론을 통해 코로나19 대응 사례를 공유하고 현안 과제에 대해 논의했다. 지속적인 연대와 협력을 약속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마지막 순서로 의제발표에 나선 김 지사는 역학조사관 확대 배치, 신속한 대규모 진단검사체계, 매일 아침 진행되는 18개 시군과의 영상회의를 소개했다. 또 지역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조, 교육청과의 협력 강화 등 도내 발생 이전부터 시행한 경남도의 선제적 대응 조치를 소개했다.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비롯한 생활방역체계 구축, 영남권 감영병전문병원 설립과 공공병원 확충, 지역균형 뉴딜 등 민생경제 차원으로 나눠 설명했다.

자유토론 시간에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한 지방정부 간 협업 방안에 대한 논의가 오갔다. 코로나19 관련 정보 교환과 향후 재해·재난 발생하면 시도현의 조치에 대한 정보 공유해 국제교류 협력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이뤘다.

토론 과정에서 당초 논의 안건에 없었던 후쿠시마 원전수 방류와 관련한 의견이 오갔다. 원희룡 지사, 김영록 지사, 변성완 대행이 우리 국민의 우려를 전했고 일본 측에서도 신중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과 자국 내 반대의견이 있다는 점을 설명했다.

김 지사는 "오늘 회의가 영상으로 진행되는 '특별회의'라 사전에 협의·조율되지 않은 의제는 '공동성명'에 담기 어려운 점을 양해해 주길 바란다"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에 대한 한국 국민이 걱정하는 바가 매우 크다는 점을 일본 측 지사들께서 일본 정부에 잘 전달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일 지방정부 간에 긴밀한 연대가 왜 필요한지를 오늘 자리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며 "내년 교류회의 30주년을 맞아 경남에서 열리는 회의를 양국 지방정부 간 협력을 더욱 강화해나가는 뜻깊은 자리로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토론 후 8개 시도현 지사들은 코로나19 등 위기 대응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했다. 새로운 국제교류 방안을 모색하고 협력을 더욱 강화한다는 결의를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 세이프타임즈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