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28일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를 받는 NH투자증권 임원에 대해 고강도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 NH투자증권
▲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지난달 28일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를 받는 NH투자증권 임원에 대해 고강도 압수수색을 벌이고 있다. ⓒ NH투자증권

NH투자증권이 내부통제 강화 TFT를 통해 신뢰 강화 대책방안 구축에 나섰다.

지난달 말 임원의 미공개정보 이용 사실이 적발되며 내부통제 시스템의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자 이를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이 조치에도 불구하고 위반사항이 발견되면 해당 임직원에 대해 원스트라이크 아웃을 적용하겠다는 방침이다.

NH투자증권은 미공개 주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인원을 등록·인증하는 시스템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기존에는 본부 단위 조직체계에 따라 이뤄졌던 내부통제를 프로젝트별로 관리해 정보 접근의 투명성과 추적 가능성을 높인다는 구상이다.

공개매수·유상증자·블록딜 등 국내 상장주식 관련 IB(기업금융)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임직원이 인증 대상이다.

NH투자증권은 이 과정에서 자금세탁방지(AML) 기술 기반의 점검 체계를 활용한다. 임직원의 타사·가족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상거래까지도 점검할 계획이다. 우회 거래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차단해 사후적발·사전점검 등이 가능한 장치를 갖춘다는 취지다. 가족 계좌는 개별 동의한 배우자·미성년 자녀 계좌를 대상으로 한다.

또 미공개정보 이용 관련 위법이 적발되면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 미공개 중요정보를 취득하고 이용·제공·유출할 때 즉시 업무 배제 이상의 징계를 내린다.

윤병운 대표는 "신뢰를 단순한 선언이 아닌 시스템으로 즉각 구현하는 실질적 혁신"이라며 "정보관리 투명성과 내부통제 효율성을 모두 강화해 업계의 신뢰 강화 기준을 새로 세우겠다"고 말했다.

앞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은 지난달 28일 오전 IB1사업부 대표인 A 전무의 미공개정보 이용 혐의와 관련해 NH투자증권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A 전무는 최근 2년간 자사가 공개매수를 주관했던 11개 종목의 중요정보를 지인 등에게 전달, 지인이 해당 주식을 사전에 매수하고 주가 상승 후 매도하는 방식으로 20억원 상당의 부당이익을 편취한 혐의를 받는다.

이후 NH투자증권은 A 전무를 직무에서 배제하고 윤 대표를 필두로 한 TFT를 신설해 전 임원의 국내주식 매매를 전면 금지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