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 소방본부는 5일 국회 본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소방관의 안전과 처우 개선을 위한 국가 차원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소방본부는 기자회견문을 통해 소방관들이 심각한 육체적·정신적 위험에 노출돼 있음에도 국가의 체계적 지원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배터리 화재 등 신종 재난 증가와 지하공간, 대형 군집시설 등 난이도 높은 현장이 늘고 있지만 인력 부족으로 현장 부담과 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현장 경험이 부족한 지휘관이 재난 상황을 통솔하는 구조적 문제를 지적하며, 현장을 잘 아는 지휘 체계 구축과 안전관리 시스템 개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응급의료 현장에서 반복되는 '응급실 뺑뺑이' 문제와 관련해선 소방과 의료체계 간 협력 시스템 마련도 요구했다.
소방본부는 대통령이 직접 현장 소방관의 의견을 청취해야 한다며,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되지 않는 정책으로는 조직 혁신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어 소방관의 자살 증가 문제를 언급하며 PTSD 대응 시스템, 치료·회복 지원 확대, 예산 보강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근무시간 문제도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소방본부는 소방관에게 주 72시간 근무가 유지되는 상황을 지적하며 노동시간 단축과 인력 확충을 통한 4교대제 시행을 요구했다.
권영각 소방본부장은 "현장 순직보다 자살로 목숨을 잃는 소방관이 더 많아지고 있는 현실에서, 이들이 생을 포기하지 않도록 치료와 회복을 지원하는 제도와 예산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문종 기자
munjong1002@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