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송재진(왼쪽), 구자원(가운데), 최병윤 분당서울대병원 교수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청각재활센터는 인공와우 수술 누적 2000례를 달성했다고 18일 밝혔다.

2005년 인공와우 수술을 시작한 이후, 2019년 500례, 2021년 1000례, 2023년 1500례를 거쳐 올해 3월 2000례 돌파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인공와우 수술은 고도난청 환자를 대상으로 달팽이관(와우) 역할을 대신하는 전극을 이식해 청신경에 직접 신호를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는 보청기로도 청력을 회복하기 어려운 고도난청 환자, 선천적 청각 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대안이 될 수 있다.

보청기는 외부 소리를 증폭해 소리를 잘 들을 수 있게 돕는 방식이라면, 인공와우 수술은 소리를 전달하는 전자 장치를 달팽이관에 삽입해 소리를 전기 신호로 변환해 청각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청각재활센터의 실적은 의료진의 뛰어난 전문성과 축적된 노하우를 입증하는 중요한 지표다.

의료진은 환자 개개인에게 최적화된 정밀의료를 선도하며, 뇌파 검사, 영상 검사, 유전자 분석을 활용한 철저한 맞춤형 인공와우 치료를 제공해왔다.

또 수술 전 평가를 위해 다양한 진료과와 협진하고 수술의 성공과 청력 회복을 목표로 언어치료실, 청각검사실, 청각재활실 등 관련 검사실과의 체계적 진료 프로세스도 구축했다.

특히 최병윤 교수의 주도로 이뤄진 난청·인공와우 수술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와 지속적인 치료법 개발은 센터의 가파른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센터는 △고주파 난청 환아의 자연 청력을 최대한 보존하는 하이브리드 인공와우 수술 △난청 원인 유전자 검사와 분자유전학 진단으로 수술 후 예후를 예측하는 정밀의료기반 수술 △전극 위치를 재교정해 청신경 접근성을 극대화하는 풀백 수술 도입 △인공와우 수술 후 조기 매핑 확립 등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다.

구자원 이비인후과 교수는 "수술의 질적 성공률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환자와 보호자가 인공와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실적인 기대감을 가질 수 있도록 충분한 상담을 진행하고 수술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