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엔터테인먼트 업계 1위 하이브가 폐기물 부담금 납부 과정에서 매출액을 1000배 축소 신고한 사실이 드러나 국정감사 도마에 올랐다.
24일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환노위·파주을)이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하이브는 폐기물 부담금 신고 과정에서 매출액을 1000배 축소 신고해 1억2000만원의 부담금을 납부하지 않았다.
현행법상 하이브와 같이 재활용이 어려운 폐기물(플라스틱) 제조·수입업체는 폐기물 부담금을 납부해야 한다.
해당 업체는 당해연도 매출액과 배출량, 증빙자료 등을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는 폐기물 부담금 시스템에 입력하고 공단은 시스템을 통해 자동 계산된 부담금을 업체에 고지한다.
공단에 따르면 하이브는 지난해 기준 1397톤의 플라스틱을 배출했다. 1249톤(89%)은 소속가수의 앨범, 148톤(11%)은 굿즈 제작에 사용됐다. 하이브 재무제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매출액은 2조1780억8820만7000원이다.
그러나 하이브는 시스템에 매출액을 21억7808만8207원으로 등록했다. '0' 3개가 빠진 것이다.
이에 따라 하이브에게 잘못 책정된 폐기물 부담금은 1억4964만2560원으로 실제 하이브가 납부해야 할 금액보다 1억2512만860원이 덜 계산됐다.
공단은 이를 발견하지 못한 채 4월 30일 고지서를 발급했고 하이브는 5월 10일 해당 금액 납부를 완료했다.
심지어 한국환경공단은 지난 9월 박정 의원실이 해당 수치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기 전까지 하이브의 매출액이 축소 신고된 사실을 모르고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공단은 지난 11일에서야 1억2000만원 상당의 추가 고지서를 하이브에 발송했다. 하이브는 오는 31일까지 미납금 납부를 완료해야 한다.
박정 의원은 "국감에서 문제 제기가 없었다면 1억원 이상의 부담금이 누락됐을 우려가 있다"며 "환경부는 하이브가 매출액을 축소 신고한 경위를 명백히 파악하고 재발방지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스템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것은 환경공단의 명백한 직무유기"라며 "폐기물 부담금 시스템에 대한 환경부 차원의 감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