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음식의 냉장보관은 세균으로 부터 식중독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만 세균의 증식이 억제될 뿐 죽는 것은 아니다. ⓒ 김미영 기자
▲ 음식의 냉장보관은 세균으로 부터 식중독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되지만 세균의 증식이 억제될 뿐 죽는 것은 아니다. ⓒ 김미영 기자

보통의 식중독은 봄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여름철 정점을 찍고 가을까지 발생한다.

겨울철은 식중독으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운 계절이지만, 낮은 온도에서 생존과 감염력이 높아지는 노로바이러스(norovirus) 등장으로 4계절 모두 지속적인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식중독이란 인체에 유해한 △세균 △바이러스 △독소 △화학물질 등이 들어있는 음식을 먹고 발생했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질환이다.

우리 몸에 음식물과 들어온 대부분의 독소나 세균은 소화관에 흡수되지 않아 구토·설사·복통 등의 소화기 증상을 일으킨다. 또 일부 세균이 만들어내는 독소는 신경 마비, 근육 경련, 의식장애 등의 전신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구토나 설사가 심하다고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지사제나 항구토제를 잘 못 사용하면 위장과 장내의 독소 배출이 늦어져 회복이 지연되고 경과가 나빠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식중독 예방 방법 중 하나는 식재료의 특성에 맞는 온도와 보관 방법으로 저장하고 유통기한을 확인해 선입선출이 되도록 해야 한다.

조리를 시작한다면 개인위생은 필수다. 칼, 도마 등 조리 도구를 구분해 사용하고 깨끗하게 세척해 사용해 교차 오염 발생을 예방해야 한다.

조리된 음식은 실온에 오래 두지 말고 따뜻한 음식(60도 이상)은 따뜻하게 차가운 음식(5도 이하)은 차갑게 보관하며 되도록 빨리(2시간 이내)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음식물을 냉장·냉동 보관하는 것만으로도 대부분의 식중독을 예방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하지만 미생물의 증식이 억제될 뿐 세균이 죽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저온성 세균은 냉장·냉동고가 활약하기 더 좋은 장소다.

냉장고 기준온도는 냉장은 5도이하, 냉동은 영하 18도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식품은 냉기가 잘 순환되도록 70%가량만 채우고 자주 열지 않는다. 또 뜨거운 음식을 바로 넣는 것은 금물이다.

대량의 음식을 조리 후 보관할 때, 특히 육류 음식의 경우는 뜨거운 음식을 여러 개의 넓은 용기에 나눠 담아 빠르게 적정 온도로 식힌 후 냉장, 냉동 보관해야 한다.

먹다 남은 식품은 재가열한 후 보관하고 냉장·냉동고에 조리해 보관한 음식은 75도 이상으로 재가열해서 먹는 것이 안전하다.

무더운 여름철 적은 양의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버리기란 무척 힘든 일이다. 그래서 냉동실에 얼려서 보관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경우 가정용 냉동고는 자주 여닫기 때문에 일정 온도가 유지되지 않아 세균이 냉동실 전체를 오염시킬 수 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