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진에 강한 서울을 만들기 위해 2030년까지 내진율을 100%로 끌어올리기로 했다.
시는 최근 일본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을 계기로 시민 불안감 해소를 위해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추진하고 있다고 7일 밝혔다.
시는 △주요 시설물의 내진성능 확보 △체계적인 예방과 대비책 확대 △지진연계 재해 대책 마련 △조기 안정화를 위한 대응과 복구 등의 내용이 담겨있는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시에 따르면 현재 서울 시내 주요 공공시설물 2465곳의 내진율은 95.4%다. 시는 정부가 목표한 내진성능 100% 확보 시기(2035년)보다 5년 앞선 2030년까지 내진율을 100%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시는 내진성능 확보가 필요한 공공시설물 113곳 가운데 올해 19곳에 202억원을 투입해 내진보강사업을 추진한다. 내진성능이 확보되지 않은 민간건축물에 대해선 건폐율과 용적률 완화 등의 인센티브 제도를 강화해 보강을 독려해나갈 계획이다.
지진옥외대피장소 전수 점검과 지진안전체험교육을 상시 운영하고 지진으로 인한 시설물 피해와 위험도 측정 등을 통해 지진 피해를 체계적으로 예방한다.
시는 지진옥외대피장소 1558곳의 관리 상태를 점검하고 시민이 대피장소를 재빨리 인지하고 원활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표지판 설치 여부와 관리 상태 등을 확인할 계획이다.
지진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계 재난 유형에 대한 대책도 마련한다. 대형 화재와 유해 화학물 유출 등에 대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정비하고 시민 구조를 위한 대책도 마련해 지진 피해에 체계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김성보 시 재난안전관리실장은 "지진은 얼마나 대비했는가에 따라 피해의 정도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며 "서울시 지진방재 종합계획을 통해 시민들이 안심할 수 있고 지진에 안전한 서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