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피켓. ⓒ 세이프타임즈
▲ 일본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반대 피켓. ⓒ 세이프타임즈

재난안전 전문가들은 우리 정부가 인접 국가의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지 못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박상진 한국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은 22일 행정안전부와 행정연구원이 주최한 제1회 재난안전연구 거버넌스 포럼에서 전문가 설문 결과를 발표했다.

국가기관과 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 민간연구소 등에 소속된 전문가 8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대상자의 54.3%가 '인접 국가의 방사능 누출 사고'에 대해 정부가 효과적으로 대응하거나 예방하지 못했다고 판단했다.

설문에서 제시된 44개 재난 사례 가운데 가장 높은 응답률을 기록했다.

박상진 위원은 "큰 사회적 관심을 불러 모은 사건 가운데 최근 벌어진 것이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오염수 방류 사태다 보니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일본 도쿄전력은 지난 8월부터 세 차례에 걸쳐 오염수 2만3400t을 처분했다. 4차 방류는 내년 초에 시행한다.

이어 △자연 우주물체 추락·충돌 △가뭄·한파·폭염 △미세먼지 △경기장·공연장 사고 등이 뒤를 이었다.

가장 효과적으로 대응한 재난 분야 항목에는 60.5%가 감염병과 가축 전염병을 선택했다.

인접 국가의 방사능 누출 사고를 효과적으로 대응한 분야로 택한 응답자는 12.3%에 불과했다.

장기적인 관점(5~10년)에서 위험성이 커지는 재난 분야를 묻는 항목에서도 59.3%가 인접 국가의 방사능 누출을 선택했다. 원자력 사고에 이은 두번째로 높은 수치다.

박 위원은 "각종 재난·재해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역·국가 간 공동 체계를 마련하고 기후 재난 저감 대책 개발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