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을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변경한 용역업체에 한국도로공사 본부장 출신 사장 A씨가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씨는 도로공사에서 1급으로 건설처장, 혁신성장본부장을 거쳐 R&D본부장을 지내다 2021년 12월 퇴직한 뒤 지난해 1월 동해종합기술공사에 재취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입사 시점을 감안했을 때 A씨가 해당 고속도로 종점 변경 제안 과정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의혹이 나오고 있다.
8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이소영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의왕과천)에 따르면 동해종합기술공사엔 한국도로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출신 등 12명의 퇴직자가 근무하고 78명의 정부·공공기관 출신 정책임원이 간접고용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 의원은 지난 1일 국토교통위 전체회의에서 원희룡 국토부 장관에게 "고속도로 종점 변경 배후가 누군진 모르겠지만 그것이 가능하도록 명분을 만들고 기술적 작업을 한 키맨들이 누군지는 알겠다"며 "국토부와 도로공사 현직들이 전관 업체를 등에 업고 서울~양평 고속도로 처가 게이트를 덮으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동해종합기술공사는 지난해 3월 15일 '서울~양평 고속도로 타당성조사' 용역계약을 수주, 29일부터 과업을 시작해 5월 19일 타당성조사 착수보고서를 제출했다. 이 보고서엔 고속도로 종점을 양서면에서 강상면으로 변경하는 대안이 등장했다.
동해종합기술공사가 과업 시작 50여일만에 원안인 예비타당성조사 종점안 대비 55% 달라진 대안 노선을 제시한 사실이 알려지며 윤석열 대통령 배우자 김건희 여사 일가 특혜 의혹이 쏟아졌다.
변경안의 종점인 강상면 병산리 일대에 김 여사와 그 일가가 보유한 토지가 여러 곳 확인된 가운데 같은 시기 국토교통부 산하기관인 한국도로공사 1급 퇴직자가 해당 용역업체 고위직으로 근무했다는 이유에서다.
동해종합기술공사에 재직하고 있는 도로공사 등 관련 기관 퇴직자의 채용에 문제가 없었는지도 확인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토부는 A씨 관여 의혹을 반박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A씨는 지난해 동해종합공사 사장 직함을 달고 있었지만 양평 고속도로와 관련없는 기술지원 업무를 수행했다"며 "해당 고속도로 관련 책임자로 온 것은 지난 1월이며 노선 선정 과정에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은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