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등과 관련해 미국 법무부 등을 대상으로 7억원의 로비 자금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 세이프타임즈
▲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 등과 관련해 미국 법무부 등을 대상으로 7억원의 로비 자금을 사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 세이프타임즈

한진칼(대한항공)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미국·유럽연합 규제당국의 승인을 받지 못해 난항을 겪고 있는 가운데 대한항공이 지금껏 미국에 로비(lobby)한 자금이 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미국 비영리 정치자금 감시 단체 '오픈시크릿츠(opensecrets)'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지난해부터 지난 6월까지 미국에서 로비 자금으로 52만달러(6억7000만원)를 지출했다.

로비 대행사 두 곳을 고용해 지난해 40만달러, 올해 12만달러를 사용했다. 로비 내용 서술 보고서엔 대한항공 로비 활동은 '국제 항공 경쟁·공급망 보완'과 관련돼 있다고만 간략히 명시됐다.

주요 대상 기관은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을 심사하는 미 법무부를 비롯해 상무부, 국무부, 백악관 등이 포함돼 있었다.

미 법무부는 2020년 11월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 인수를 결정한 뒤 2021년 1월 심사를 시작했는데 여객뿐 아니라 마이크로칩 같은 핵심 제품의 화물 운송을 독점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한항공이 고용한 로비스트 가운데엔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의 상원 법사위원회 시절 보좌관 크리스토퍼 푸탈라도 포함됐다.

그가 운영하는 로비 대행사 '푸탈라 스트래티지스(Putala Strategies)'는 워싱턴의 유명 로비회사로 조 바이든 행정부가 들어서고 연간 수익이 2020년 130만달러에서 2021년 400만달러로 200% 이상 급증하는 등 영향력이 강화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시아나항공과의 합병 심사가 장기화되며 대한항공의 관련 자금 지출 규모도 확대되는 양상을 띄고 있다.

대한항공은 2020년 12월부터 지난 2월까지 국내·외 법률 비용 등으로 1000억원 정도를 투입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유럽연합·일본의 심사 문턱을 넘지 못한 가운데 유럽연합의 시정조치 요구, 미 법무부의 소송 가능성 등 잇따른 악재가 겹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기업결합 승인 심사와 관련해선 전문 로펌을 통해 합법적인 대관업무를 진행하고 있다"며 "세부내용은 확인이 어렵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