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랑스 반독점 감시단이 애플의 광고 독점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 세이프타임즈
▲ 프랑스 반독점 감시단이 애플의 광고 독점에 대해 반대하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 세이프타임즈

프랑스 정부가 애플의 독점 혐의에 대해 조사에 나설 방침이다.

26일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최근 프랑스 반독점 감시단은 애플이 광고를 위해 이용자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규정을 위반했다는 내용의 성명을 발표했다.

앞서 인스타그램이나 페이스북같은 소셜미디어 기업들은 이용자들의 앱 사용 내역과 검색 기록 등을 바탕으로 맞춤형 광고를 제공했다.

이전까지 아이폰은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앱에 제공하는 것이 기본으로 설정돼 있었다. 이용자가 정보 제공을 원하지 않으면 별도로 '개인정보 제공 거부'를 설정해야 했다.

하지만 2021년 4월 애플은 이들 기업이 아이폰 이용자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데 제약을 걸었다. 기존에 기본으로 개인정보가 제공되도록 했던 설정이 앱을 설치하고 켜면 개인정보 동의 여부를 묻는 화면이 뜨는 것으로 바뀐 것이다.

이후 트위터나 페이스북 같은 앱은 애플의 정책으로 이용자 정보 제공 동의율이 20% 수준으로 떨어졌다. 맞춤형 광고가 매출의 상당부분 차지했던 메타는 애플의 정책으로 연간 매출이 12조원가량 감소했다고 밝혔다.

반면 애플의 광고 관련 매출은 크게 상승해 지난해 50억달러(6조5000억원)에 달했다.

실제로 애플의 광고 사업은 개인정보 보호 정책 강화 이후 6개월만에 시장점유율이 3배가량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은 아이폰 이용자들이 다운받은 앱과 유료 결제 내역을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가 가능했기 때문이다.

프랑스 정부 관계자는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애플이 앱 이용자의 개인정보는 보호했지만 정작 애플은 아이폰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활용해 시장점유율을 키웠다"고 비판했다.

이에 애플은 자체 광고 사업으로 오히려 아이폰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폭넓게 보호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2020년 프랑스 온라인 광고 회사 4곳은 Apple이 개인 정보 보호 기능을 변경한 것에 대해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애플의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 유럽연합의 관련 규정에도 부합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독일·이탈리아·폴란드 정부도 이와 비슷한 내용에 대해 조사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프랑스 반독점 감시단 관계자는 "애플의 변경된 개인정보 보호 정책은 차별적이고 불투명하다"며 "이같은 행위로 시장 지배적 지위를 남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