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사가 일어난 충북 청주 오송읍 지하차도의 침수 신고가 사건 발생 전 접수됐지만 경찰이 엉뚱한 곳으로 출동해 사고를 막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국무조정실·경찰 등에 따르면 청주 오송읍 궁평2지하차도 사고 발생 당일인 지난 15일 오전 7시 2분과 7시 58분 두차례 궁평지하차도 긴급통제와 주민 긴급대피를 요청하는 신고가 있었다.
사고 발생시간(오전 8시 45분)보다 최소 50분 먼저 신고가 접수됐다.
하지만 경찰은 '궁평2'지하차도가 아닌 도심과 가까운 '궁평'지하차도로 출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궁평2지하차도는 미호천과 500m, 궁평지하차도는 1.2㎞ 떨어져 있다.
경찰 관계자는 신고자가 통제 장소를 정확히 궁평2지하차도로 지목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관할인 오송파출소는 해명에 대해 침묵하고 있다.
14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번 사건의 원인과 책임 규명을 위해 충북경찰청은 송영호 수사부장을 본부장으로 수사본부를 꾸려 수사에 들어갔다.
미호강의 홍수 경보에도 관할기관이 지하차도 교통통제를 하지 않은 점, 미호강 제방 붕괴 원인 등 과실 여부를 들여다볼 예정이다.
국무조정실도 사고원인 규명을 위한 감찰에 들어갔다.
충북도와 청주시, 흥덕구 등 관련 지자체와 경찰·소방의 안전조치 자료를 확인하고 논란 중인 미호천 임시 제방공사와 관련한 행정기록도 조사할 방침이다.
국무조정실 관계자는 "경찰이 교통 통제의 주체 중 하나지만 도로 관리와 홍수 상태 등을 모두 파악하는 것은 아닌 만큼 오인 출동 자체가 핵심 사안은 아니다"며 "관련된 모든 기관에 대한 조사 결과가 나오는 대로 발표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