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으로 지정된 9곳에 올해 지역별 맞춤형 지원을 추진한다고 28일 밝혔다.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은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50㎍/㎥를 초과하거나 초미세먼지 농도가 15㎍/㎥를 초과하는 지역으로 어린이집·유치원 등 취약계층 이용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환경부 협의를 통해 시장·군수·구청장이 지정할 수 있다.
2020년부터 현재까지 지정된 곳은 △성남시 상대원 1~3동 일대 △오산시 오산동·원동 일원 △부천시 삼정동·오정동·내동 일원 등 11개 시군 13곳이다. 대부분 공업·교통 밀집 지역이거나 비산먼지 발생사업장에 인접한 주거지역이다.
도는 시·군별 자체 계획에 따라 미세먼지 집중관리구역을 5개 신규 지정한다. 신규 지정 포함 18곳 중 9곳에 9억원을 투입해 △미세먼지 쉼터 △눈높이에 맞는 미세먼지 신호등 △스마트 공기샤워와 창호 부착형 환기시스템 등 지역 실정에 맞는 설치 사업을 지원한다.
또 집중관리구역 인근에 진공 흡입차 등 살수차 등을 이용해 도로 청소 횟수를 확대하고 건설공사장, 배출사업장, 자동차 배출가스 등 미세먼지 핵심 배출원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다.
차성수 경기도 기후환경에너지국장은 "고농도 미세먼지로부터 어린이, 노인 등 취약계층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시·군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미세먼지 저감·회피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김춘만 기자
korea.cm@safetimes.co.kr
관련기사
- "경기도 시중은행에 유휴 점포 무상지원 요구 사실 무근"
- 경기도,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 침수 예방 '무료' 기술자문
- 경기도, 양평 등 9개 시군에 친환경 '유기농 벼 종자' 공급한다
- 경기도, 전국 최초 '치유농업서비스' 김포 등 4곳 시범운영
- 경기도 공사·용역 발주때 '안전분야' 심사 대폭 강화한다
- 김동연 경기지사, 유럽 히든챔피언 기업 투자유치 나서
- 경기도, 창업 돕는 '판교 스타트업 아카데미' 운영한다
- 경기도, 세정용 화장품 중금속 검사 모두 '안전'
- 경기도 '불공정계약 예방 교육' 검정고무신 사태 없앤다
- 경기도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보험료' 최대 100만원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