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CCTV가 2027년까지 전면 도입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이태원 참사 이후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고 있는 모든 CCTV를 지능형 CCTV로 교체한다는 지침을 발표했다. 하지만 참사 이후 조급한 결정 아니냐는 비판이 제기됐다.
행안부는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종합대책에 반영된 지능형 CCTV 도입 계획을 7일 밝혔다.
먼저 △CCTV를 활용한 안전 취약 지대 발굴이라는 국민 의견 △CCTV 확충과 기능 개선이 필요하다는 국가안전시스템 개편 범정부 TF 의견 △과학적 재난관리에 CCTV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 등을 적극 반영했다.
이에 정부는 범죄 예방 등을 목적으로 설치된 CCTV를 재난안전관리 목적으로 공동 활용하고 기존 육안 관제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발전된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관제로 전환한다는 정책 목표를 세웠다.
현재 지자체 통합관제센터와 연결된 지능형 CCTV의 보급률과 대량 발주 때 조달 단가 조정 여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7000~8000억원이라는 예산을 추계했다.
행안부 관계자는 "비용 대비 최고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추진 방식과 도입모델을 결정하고 관련 법령에서 정한 정보화사업 절차에 따라 세부적인 사업계획을 수립해 예산에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신승민 기자
shinsm@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