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 ⓒ 세이프타임즈

서울 용산구청이 이태원 참사 발생 직후 소방청 구조상황보고서를 그대로 베껴 행정안전부에 첫 상황 보고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 장혜영 정의당 의원

9일 이태원 참사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위원인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장혜영 의원(정의당·비례대표)이 행안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구청은 참사 당일인 지난해 10월 29일 오후 11시 47분 '서울시 용산구 다수 인파로 인한 부상자 다수 발생'이란 제목의 상황보고문을 행안부에 발송했다.

내용은 소방청 서울종합방재센터 종합상황실이 같은 날 오후 11시 3분 행안부를 포함한 유관기관에 1보를 발송한 구조상황보고서와 정확히 일치했다.

구청은 '오후 10시 15분 사고 발생 신고접수 소방력 출동', '소방청 보고, 유관기관 상황전파', '오후 10시 29분 용산 현장대응단 인근 현장 도착, 도보로 이동 중' 등 소방의 구조활동 내역을 구청의 응급조치 내역으로 그대로 가져다 썼다. 소방이 취한 조치를 용산구청이 취한 조치사항으로 보고한 것이다.

또 참사 당일 오후 10시 53분 공식적으로 사고 상황을 인지했다고 주장한 용산구청으로서는 절대 조치할 수 없는 내용이었다. 구청이 작성한 보고서였지만 구청이 목적어나 수신자로 여러 차례 등장하기도 했다.

타 기관의 조치를 그대로 '복사+붙여넣기' 해 제출한 점이 드러나며 구청은 '총체적 기강해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이에 대해 "(상황보고서) 내용은 보지 못했다"며 "당직실에서 보고서가 전달될 때 오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장혜영 의원은 "용산구청은 이태원 참사의 예방과 대응 모두 실패했을 뿐 아니라 각종 허위·거짓 보고 의혹까지 드러났다"며 "특히 기본적인 상황보고마저 타 기관 조치 내용을 그대로 옮겨 자신들이 한 것처럼 허위 보고한 점에 대해선 책임을 져야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