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재난으로 인해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을 때 환자 정보를 공유하는 '다수사상자 관리시스템(MCMS)'이 이태원 참사 때도, 최근 발생한 과천 방음터널 화재 때도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4일 국회 국정조사특별위원회 윤건영 의원(더불어민주당·서울구로을)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모바일 상황실 관련 자료에 따르면 중앙응급의료상황팀장은 이태원 참사 당일 오전 MCMS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아이디가 막혀 소방과 정보 공유가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송했다.
소방은 중앙응급의료센터나 지방자치단체같은 재난 관련 기관에 MCMS 접속 권한을 주고 있다. 하지만 이태원 참사 때 중앙응급의료상황실에선 접속조차 안 됐던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센터 관계자에 따르면 센터는 이태원 참사 1~2주 전부터 이미 MCMS 접속이 안 됐다. 소방청으로부터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받았지만 로그인이 되지 않아 환자 정보에 접근할 수 없었다는 것이다.
최근 발생한 과천 터널 화재 때도 MCMS에 로그인이 불가능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응급센터의 상급 기관인 복지부엔 MCMS 접속 권한도 없었다.
복지부 관계자는 "해당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었더라면 피해자 현황 파악이 좀 더 수월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해당 시스템은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면 관계기관과 병원 정보·이송환자 현황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구축됐다. 2018년 소방청이 자체 개발했는데 이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발생 환자 정보를 전화나 메신저로 일일이 파악해야 한다.
실제로 이태원 참사 당시 국립중앙의료원 응급센터 의료상황실과 소방, 응급의료기관 등은 카카오톡 단체 대화방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형태로 정보를 공유했다. 400명이 넘는 인원이 메시지를 공유하느라 병원 이송 현황이 제 때 전달되지 않아 한 병원에 다수의 피해자가 몰리는 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소방은 재난 관련 기관의 MCMS 사용이 의무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소방 관계자는 "시스템 접근이 어려웠던 건 비밀번호 분실이나 아이피 대역 변경 등의 이유로 추정된다"며 "의료상황실은 자체 모바일 상황실이 메인 시스템이고 MCMS는 소방청 내부 메신저에 불과하다"고 해명했다.
윤건영 의원은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환자 이송 정보조차 유관 기관이 효율적으로 공유하지 못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며 "정부가 재난 대응 역량에 대한 대대적인 점검과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