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로페이 QR코드를 통해 결제하고 있다. ⓒ 부산시
▲ 한 시민이 제로페이 QR코드를 통해 결제하고 있다. ⓒ 부산시

제로페이가 철저히 기획된 '기획횡령'을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제로페이의 설계부터 운영까지 각 단계마다 웹케시 출신 인사가 연루돼 있고 판매수익 대부분이 이들 업체로 흘러 들어가고 있는것으로 드러났다.

▲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수영 의원(국민의힘·부산남구갑)은 웹케시 출신 인사들이 제로페이의 운영 전단계에 관여했다고 26일 밝혔다.

웹케시 출신인 이혁 서울시 주무관은 제로페이 관련 계획안을 작성했고 시는 사업준비를 위한 연구 용역을 웹케시 부장 출신인 이주현에게 맡겼다.

제로페이 운영기관인 한국간편결제진흥원 이사장직은 웹케시 부회장 출신 윤완수가 운영해 왔다.

제로페이의 상품권 판매수수료 71%는 웹케시 계열사로 돌아가고 있다. 2019년부터 지난 8월까지 제로페이를 통한 판매수수료는 563억원으로 이 가운데 한결원이 278억원이다.

남은 286억원은 33개 판매사로 돌아가는데 웹케시 계열사 3곳에 203억원이 쏠려 있다. 

카드수수료 감면 효과가 있는 직불 결제를 통한 매출은 5877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11.7%에 불과하다. 중기부가 올해까지 투입한 예산 가운데 카드수수료 절감 효과는 50억원에 불과해 제로페이의 실효성은 없는 상태다. 

박수영 의원은 "제로페이 사업은 낮은 수수료로 인해 애초부터 수익이 날 수 없는 구조"라며 "기획부터 운영까지 특정 업체 중심으로 사업이 이뤄졌고 지난 정부에서는 기존 목적과 관련 없는 상품권 판매까지 동원해 이익을 몰아줬다"고 주장했다.

이어 "국민 세금으로 기획 횡령을 기획한 웹케시와 이에 동참한 홍종학, 박영선 두 전직 장관, 중기부 공무원에 대한 수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