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 피해 일으킨 집중호우 대책 여전히 '부실'
빗물받이 쓰레기 버리지 않는 작은 실천부터

▲ 호우특보가 발효된 27일 오후 광주 서구 매월동 농수산물유통센터 지하주차장이 침수돼 소방 당국이 배수 작업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 호우특보가 발효된 27일 오후 광주 서구 매월동 농수산물유통센터 지하주차장이 침수돼 소방 당국이 배수 작업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됐다. 장마의 양상은 이제 과거와는 완전히 다르다.

장마전선이 남북을 오가며 지역별로 비가 내리던 과거와는 달리 전국적으로 동시에 비가 내리는 경우도 많다. 가장 큰 특징은 집중호우다.

기상청은 한 시간에 30㎜가 넘는 비를 '매우 강한 비'로 분류하는데, 지난해 8월 서울 동작구에는 한 시간에 141㎜의 비가 쏟아졌다. 1년 강수량의 11%가 한 시간에 쏟아진 셈이다.

올해도 이런 집중호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후변화로 장마의 '형태'가 변한 것에 더해 엘리뇨 현상까지 발생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24일부터 27일까지 제주 한라산에는 300㎜가 넘는 폭우가 내렸고, 27일 집중호우가 쏟아진 광주, 전남지역에는 곳곳에서 침수피해가 발생했다.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 재산피해는 해마다 커지고 있다. 지난해 서울에서는 반지하 주택이 침수하면서 일가족이 미처 빠져나오지 못해 사망하는 사고가 있었다.

포항에서도 차를 빼러 지하 주차장에 내려갔던 주민 7명이 순식간에 불어난 물 때문에 숨졌다. 강남 일대가 물바다가 되면서 전 지역의 교통이 마비됐고, 차량 2만2000대가 침수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해 인명사고가 난 반지하 피해지역을 돌아보면서 보완을 지시했다. 하지만 호우에 취약한 곳에 대한 보완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 장마 시작이 예보된 25일 오후 서울 성동구 한 주택가에 물막이판이 설치돼 있다. ⓒ 연합뉴스
▲ 장마 시작이 예보된 25일 오후 서울 성동구 한 주택가에 물막이판이 설치돼 있다. ⓒ 연합뉴스

가장 시급한 물막이 시설 설치는 전체 대상 가구의 55%밖에 이뤄지지 않았다. 침수되는 집이라는 낙인이 찍힐 것을 우려한 집주인과 세입자 등의 이해관계가 얽혀 있기 때문이다.

반지하주택 이전 비율도 10%가 되지 않는다. 커지는 주거비 부담에 자녀 학교 등 여러 가지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비 피해가 가장 극심했던 포항 역시 복구 공사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대형 토목공사가 이뤄져야 하는 만큼 시일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 서울 관악IC 인근에 위치한 신림공영차고지 빗물저류조 건설 현장. 이곳은 최대 3만5000톤 빗물을 저류할 수 있는 대규모 공간이다. ⓒ 연합뉴스
▲ 서울 관악IC 인근에 위치한 신림공영차고지 빗물저류조 건설 현장. 이곳은 최대 3만5000톤 빗물을 저류할 수 있는 대규모 공간이다. ⓒ 연합뉴스

배수시설 확충도 지지부진하다. 빗물터널은 집중호우 피해를 막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시설이다. 빗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뒤 하천으로 흘려보내는 시설이다.

빗물터널이 설치된 양천구는 지난해 쏟아진 집중호에도 침수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도쿄에는 저수용량 54만톤 규모의 저수시설이 2년 전에 완공돼 침수피해를 크게 줄였다.

강남역과 광화문, 도림천 일대에 만들기로 한 배수시설 예산은 내년에 반영돼 2027년에야 완공될 예정이다.

▲ 지난 23일 서울 강남역 인근 빗물받이에 담배꽁초가 쌓여 있다. ⓒ 연합뉴스
▲ 지난 23일 서울 강남역 인근 빗물받이에 담배꽁초가 쌓여 있다. ⓒ 연합뉴스

대규모 시설 확충에는 시간과 예산이 많이 들어가는 만큼, 중요한 것은 시민들의 안전의식이다. 안전시설인 빗물받이만 제대로 작동해도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서울시는 행정력을 동원해 빗물받이 청소를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1주일만 지나면 쓰레기가 쌓이고 있다.

하늘 탓만 할 것이 아니라 작은 실천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