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인플루엔자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난달 26일 정읍 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처음 발생한 후 4건이 4개 시도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8일 밝혔다.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곳은 전북 정읍, 경북 상주, 전남 영암, 경기 여주이며 충북 음성은 7일에 의심 신고가 들어와 고병원성 여부에 대해 정밀검사를 하고 있다.
음성을 비롯해 5개 가금농장을 역학 조사한 결과 농장 간 수평전파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 1·2차 발생 농장 반경 10㎞ 안의 농장과 역학관계가 있는 농가에 대한 정밀검사 결과도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2016∼2017년 사례를 보면 초기 중부지방에서 고병원성 AI 항원이 검출되고 전남·경남 등 남부지방으로 확산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올해는 지난달 21일 충남 천안의 야생조류에서 항원이 처음 나온 이래 호남, 영남, 제주 등 전국으로 퍼지는 추세다.
2021년 1월까지 철새 유입이 증가하면서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 발생 위험도 계속 커질 것으로 보인다. 중수본은 철새 도래지, 야생조류 서식지 등이 전국에 분포해 있어 가금농장의 AI 발생 우려가 매우 높은 엄중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AI 바이러스 오염원이 있는 철새도래지에 대한 예찰을 강화하고 철저히 격리해 집중 소독을 시행하고 있다. 농장의 소독·방역 실태와 농장 방역수칙 이행을 점검하면서 농장 단위 차단 방역도 강화했다.
지난 5일은 전국 가금농장별 전담관제를 도입해 9일부터 농장 주변 생석회 도포 등 개별 농장의 차단방역 시행 여부에 대해 현장점검을 진행할 예정이다.
농장 간의 수평전파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관리를 강화했다. 전국 모든 가금류에 대해 출하 전 검사를 시행하고 방역대(발생농장 반경 10㎞) 안의 농장, 발생 농장과 역학관계가 확인된 농장은 매일 전화 예찰을 한다.
계열화사업자는 소속 농가에 대한 방역시설 점검을 거친 이후 가금을 입식해야 한다. 발생 농장이 속한 계열화사업자는 소속 도축장 검사를 늘리고 계약농가를 대상으로 한 일제 검사를 시행하도록 했다.
발생지역 현장점검과 지원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경기·경북·전북·전남에 관계 부처와 시·도 합동 AI 현장상황관리단을 설치했다.
박병홍 농식품부 식품산업정책실장은 "바이러스가 가금농장 주변에 이미 널리 퍼져 있는 상황이지만 발생농장 역학조사 결과 기본적인 농장 차단방역 수칙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자신의 농장을 바이러스로부터 지키기 위해 방역수칙을 철저히 이행해달라"고 말했다.
이어 "가금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발생하면 사회적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는 만큼 점검과정에서 법령위반 사항이 있으면 행정처분과 살처분 보상금 삭감 등의 엄정한 조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 세이프타임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