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연구원은 식품 내 특정 성분을 손쉽게 고감도로 검출하고 품질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유연한 식품센서를 프린터 인쇄 방식으로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식품 품질 정보는 주로 온·습도 센서 데이터 기반의 품질 예측 모델로 제공된다.
하지만 개발된 센서는 실제 품질 변화를 일으키는 주요 성분을 직접 검출해 보다 정확한 품질 정보를 제공하며 일반적인 스크린 인쇄 공정으로 기존 방식보다 간단하게 제작됐다.
식품연은 과채류 등에 많이 함유된 폴리페놀의 주성분인 퀘르세틴을 대상으로 검출 성능평가 연구를 벌였다.
평가 결과 현재 세계 최고 수준인 18 nM을 크게 뛰어넘는 0.3 nM 수준까지 민감하게 검출함을 확인했다. 특히 적포도주·커피·양파 등 실제 식품 시료로부터 퀘르세틴을 2초 이내로 매우 빠르게 검출한다.
개발 센서는 특정 수용체 부분 없이 검출 소재를 설계해 소재 개발 비용을 낮췄으며 프린터 인쇄로 제작돼 기존 대비 1/10 수준의 비용으로 간편하게 제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고성능·저비용의 장점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앞으로 다양한 식품의 품질과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조영진 박사는 "연구는 전북대학교 임수만 교수 연구팀과 이루어낸 학연 융합 연구 성과로서 인쇄형 식품센서 분야의 연구개발과 해당 산업 성장에 크게 도움이 된다"면서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다양한 식품의 품질과 안전을 확보하고 실시간 관리하기 위한 관련 연구와 기술 개발에 더욱 전념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