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여러 차례 강조한 "주가조작 때 패가망신"의 첫 사례가 나왔다.
국내 증시에서 비일비재하게 발생하던 불공정거래를 뿌리뽑기 위해 지난 7월 30일 출범한 주가조작 근절 합동대응단이 2개월간 조사한 사건을 마무리 지으면서다.
합동대응단은 지난해 초부터 대규모 자금을 동원해 400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취한 대형 작전세력을 적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범행은 종합병원, 한의원, 대형학원 등을 운영하고 있는 재력가들이 유명 사모펀드 전직 임원 등 금융 전문가들과 공모하며 시작됐다.
혐의자들은 일별 거래량이 적은 종목인 DI동일을 주가조작 대상으로 정하고, 법인자금·금융회사 대출금 등 1000억원 이상의 시세조종 자금을 조달했다. 이 자금으로 유통물량의 상당수를 확보하고 시장을 장악했다. 매수 주문량이 시장 전체의 33%일 정도로 대규모였다.
이후 1년 9개월간 고가매수, 허수매수, 시·종가관여 등 다양한 시세조종 주문을 통해 주가를 2배 수준으로 상승시켰다.
이와 관련해 DI동일은 자사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당사가 피해기업이라고 하더라도 해당 사건과 전혀 무관하며, 주가조작과 관련한 피해자임을 명확히 밝힌다"고 밝혔다.
합동대응단은 이들이 범행 사실을 은폐하기 위해 고도의 지능적인 전략을 사용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자신들이 보유한 대량 주식으로 매매를 주도하며 수만회에 이르는 가장·통정매매 주문을 제출한 뒤 단기간 내 체결시키는 방식으로 거래가 성황을 이루는 것처럼 꾸몄다.
또 혐의기간에 하루도 빠짐없이 집요하고 적극적으로 시장을 지배했다. 금융당국의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수십개의 계좌를 활용, 주문 IP를 조작하기도 했다.
혐의자들이 범행을 통해 실제 취득한 시세차익만 230억원에 달한다. 보유 주식도 1000억원 상당에 이르는 대규모 주가조작 사건이다.
이 사건은 금감원의 시장감시 과정에서 최초 포착됐으며, 신속한 공동대응 필요성이 높다는 점 등을 감안해 합동대응단에 이첩됐다.
이후 금융위원회의 강제조사권을 활용해 혐의자 주거지와 사무실 등에 대해 압수수색을 집행, 범행 관련 주요 증거를 확보했다.
증권선물위원회는 이들이 벌어들인 부당이익을 환수, 자본시장법에 따라 수십개의 계좌에 대해 지급정지 조치를 최초 시행했다.
합동대응단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혐의자들을 엄정 조치할 방침이다. 특히 금융당국은 부당이득의 최대 2배에 달하는 과징금 부과, 금융투자상품 거래·임원선임 제한 등의 제재를 통해 원 스트라이크 아웃의 본보기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합동대응단 관계자는 "엘리트 그룹이 공모한 대형 주가조작 범죄를 진행 단계에서 중단시켜 대규모 피해를 차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향후 포착되는 불공정거래에 대해서도 즉각적인 조사를 진행해 작전 세력이 국내 자본시장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