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삼성병원 연구팀이 3일 폐경 전 정상체중의 여성이 비만 여성보다 유방암 위험도가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헬스케어데이터센터 류승호·장유수 교수와 박보영·마이트랜 한양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근육량 등 체성분과 유방암 발생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2011년부터 2019년 사이 강북삼성병원 종합건진센터를 방문한 20세 이상 54세 이하의 폐경 전 여성 12만 여명을 평균 6.7년 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폐경 전 여성에서는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체지방량이 1단위씩 증가할 때마다 유방암 위험도는 1~4% 감소했고 체중 대비 체지방량이 10%로 증가할수록 유방암 위험도는 12% 감소했다. 하지만 근육량은 유방암 위험과 유의한 상관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는 미국의학협회 저널 중 하나인 'JAMA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게재됐다.
장유수 교수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난소뿐 아니라 지방세포에서도 생성된다"며 "폐경 후 여성에서는 난소에서의 에스트로겐 분비가 중단되지만 지방조직에서 에스트로겐이 분비되기 때문에 비만할수록 유방암의 위험도 상승한다"고 말했다.
반면 "폐경 전 비만 여성의 경우, 월경주기의 변화 등 난소에서의 에스트로겐 생산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에스트로겐 노출량이 적어 유방암 위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추측된다"고 말했다.
이어 "폐경 전 비만한 여성에서 유방암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만은 당뇨병, 고지혈증, 심혈관질환 등 다른 만성질환의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알려진 만큼 건강을 위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