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는 기계공학과 박인규 교수와 한국기계연구원(KIMM) 정준호 박사 공동연구팀이 전기방사 섬유 상 금속과 금속산화물 기반 나노구조체 전사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신축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전기방사 섬유를 개발해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에 접목돼 땀의 미세한 포도당 수치 진단이 가능하고 웨어러블 시스템 영역을 확장하게 할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일상 속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을 위해 기반 고분자의 열적 거동 특성(열 변형 특성)과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통한 표면 특성을 고려해 신축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전기방사 섬유 위 금속/금속산화물 나노구조체의 안정적인 전사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이 기술로 다양한 구조체의 전기방사 섬유 상 전사가 가능할 뿐 아니라 금속산화물까지 다양한 재료의 나노구조체 전사가 가능해졌다.
박인규 KAIST 교수는 "개발된 차세대 전기방사 섬유상 나노구조체의 전사 공정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추후 웨어러블 헬스케어 응용을 포함한 다양한 웨어러블 시스템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신주연 기자
jycello04@safetime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