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신문협회가 국민들의 뉴스 선택권을 제한한 '다음' 포털사이트를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24일 인신협에 따르면 최근 다음은 뉴스 검색페이지에서 자사와 콘텐츠 제휴(CP)가 된 언론사만 검색되도록 정책을 바꿨다.

지난 5월 다음은 뉴스보기 탭에 CP 언론사 기사만을 보여주는 기능을 도입했다. 6개월 후 다음은 검색 기본값으로 CP 언론사 기사만 설정하고 전체 언론사 기사를 보여주는 별도의 '전체' 옵션을 추가로 넣었다.

검색 기본 설정이 바뀌면서 사실상 다른 언론사 기사들이 검색 결과에 나타나지 않게 된 셈이다.

다음뉴스엔 현재 100개가량의 CP 언론사가 있다. 이 가운데 포털뉴스제휴평가위원회(제평위)의 심사를 거쳐 선정된 곳은 8개다.

나머지 92개 CP 언론사들은 면밀한 심사 과정 없이 다음과 자체 계약을 맺고 기사를 제공한다. 제휴 언론사라고 해서 기사의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다음은 올해 제휴평가위원회의 활동을 일방적으로 중단시켰다. 기사 품질을 검토하는 기구의 활동도 없앴던 다음이 국민들의 다양한 뉴스 선택권을 사실상 원천 봉쇄하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인신협 관계자는 "총선을 앞둔 시점에 다음의 이런 조치는 지역 언론들의 언로를 차단하는 것"이라며 "민주주의 퇴행을 의미한다"고 말했다.

다음의 뉴스 선택권 제한 조치는 국민의 알권리를 침해하고 언론 시장에서의 공정 경쟁을 저해하는 행위라는 비판이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대형 포털이 권한을 남용해 중소 언론사의 기사 노출을 줄이고 언론 생태계를 뒤흔드는 행위라는 것이다.

인신협의 촉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카카오다음 등 국내외 포털 및 검색 사업자는 뉴스유통의 시장지배적 사업자로서 국민의 다양한 뉴스선택권을 봉쇄하는 일체의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

2. 국회와 정부는 법률 위에 있는 시장지배적 사업자의 일탈행위를 더 이상 방관하지 말라.

3. 카카오다음과 네이버 등 양 포털은 뉴스품질을 담보할 최소한의 장치인 뉴스제휴평가위원회를 즉각 재가동하라. 

인신협 관계자는 "국민의 뉴스 검색 영역에까지 자의적 차별행위를 강행하는 다음의 행위를 묵과하지 않겠다"며 "뜻을 같이하는 모든 언론사와 연대해 적극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