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운동 치료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항바이러스항체 생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장윤석·최준표 분당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김의석 감염내과 교수. ⓒ 분당서울대병원
▲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운동 치료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항바이러스항체 생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왼쪽부터 장윤석·최준표 분당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김의석 감염내과 교수. ⓒ 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은 연구팀이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운동 치료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 후 항바이러스항체 생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디지털 치료제는 디지털 기술을 이용해 환자의 질병과 의학적 장애를 예방·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뜻한다.

디지털 기반 치료기기와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특정 행동을 조정하거나 생활습관을 교정하는 데 활용함으로써 질병을 예방·관리하고 나아가 환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을 주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대유행으로 인해 새로운 백신을 개발하고 이를 공급하기까지 막대한 자원이 소요되는 등 바이러스 감염을 통제하기 어려운 상황을 겪으면서 대규모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고 개인의 면역을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디지털 치료제가 주목을 받고 있다.

연구팀은 유산소 운동 등 신체 활동이 인플루엔자와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면역체계를 강화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에 근거해 진행했다.

면역 반응을 높일 수 있는 활동 방법, 시간 등을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디지털 기기(SAT-008)의 면역 증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인플루엔자 백신 접종이 예정된 42명을 SAT-008을 진행하는 실험군과 그렇지 않은 대조군으로 나누고 백신 투여 후 체내에서 생성되는 항인플루엔자항체 데이터를 통해 면역 반응의 변화를 측정했다.

백신 투여 1개월, 3개월 후 변화를 추적 관찰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과 비교해 B형 인플루엔자 항원에 대한 항바이러스항체 역가가 높게 생성·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체내에 침입한 바이러스를 무력화시킬 수 있는 항체의 농도가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며 SAT-008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을 높이고 지속시간을 늘리는 백신 보조제와 같은 효과를 보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연구팀에 따르면 디지털 기기가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진행 준수도가 75% 이상으로 높은 실험 대상에서 사이토카인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돼 진행 준수도가 높을 경우 항체 생성 효과가 높고 생성된 항체의 지속 기간도 유의미하게 긴 것으로 나타났다.

장윤석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이 연구는 면역·감염 분야에 디지털 기기를 이용해 면역 증강효과를 확인하고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인플루엔자뿐만 아니라 코로나19 바이러스 등 다른 바이러스 백신 접종 후 면역 증강에도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윤석·최준표 분당서울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 김의석 감염내과 교수가 연구를 진행했고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I㎜une Network'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