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투카(Atuka),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Genvira Biosciences), 아이프로젠(iProgen) 등 10개 제약바이오 업체 최고경영자로 구성된 캐나다 사절단이 한미약품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인 경기도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방문했다. ⓒ 한미약품
▲ 아투카(Atuka),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Genvira Biosciences), 아이프로젠(iProgen) 등 10개 제약바이오 업체 최고경영자로 구성된 캐나다 사절단이 한미약품의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생산기지인 경기도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방문했다. ⓒ 한미약품

한미약품은 캐나다 사절단이 경기도 평택 바이오플랜트를 방문해 최첨단 제조 설비에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17일 밝혔다.

캐나다 사절단은 아투카(Atuka),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Genvira Biosciences), 아이프로젠(iProgen) 등 10개 제약바이오 업체 최고경영자를 비롯한 주요 관계자들로 구성됐다.

지난 9일 바이오플랜트를 방문한 해외 사절단은 글로벌 스탠다드를 충족한 평택 바이오플랜트의 제조 역량과 개발 노하우를 확인하고 본국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

캐나다 사절단은 한미약품이 오랜 기간 축적한 R&D 역량을 토대로 원료와 완제의약품 제조와 품질시험, 허가자료 작성까지 가능한 '엔드 투 엔드(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는 점에 큰 관심을 보였다.

▲ 캐나다 제약바이오 업체인 아투카(Atuka),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Genvira Biosciences), 아이프로젠(iProgen) 등 10여개 업체 주요 경영진들이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제조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 한미약품
▲ 캐나다 제약바이오 업체인 아투카(Atuka),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Genvira Biosciences), 아이프로젠(iProgen) 등 10여개 업체 주요 경영진들이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 제조시설을 둘러보고 있다. ⓒ 한미약품

한미약품 평택 바이오플랜트는 완제의약품 기준으로 연간 2000만개 이상의 프리필드시린지 주사기(prefilled syringe)를 제조할 수 있는 생산능력(capacity)을 보유하고 있다.

동물세포 배양 기반의 설비를 갖춘 국내 주요 CMO 회사들과는 달리 평택 플랜트는 미생물 배양을 이용하는 제조설비를 갖추고 있어 바이오의약품을 빠르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점이 차별점으로 꼽힌다.

또 코로나 팬데믹 이후 새롭게 주목받고 있는 DNA, mRNA 백신도 대규모로 제조 가능하다.

지아후 왕(Jiahu Wang) 젠비라 바이오사이언스 설립자는 "우리 회사는 이제 막 성장 단계에 접어들고 있는 회사"라며 "무엇보다 스케일 면에 감탄했고 공정 전반에 적용된 자동화 시스템과 고객사 요구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연함이 돋보였다"고 말했다.

스테판 가네(Stéphane Gagné) 이뮤지니아(I㎜ugenia) CEO는 "바이오의약품이 생산되는 전 과정이 인상 깊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창고 등의 기술력도 우수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올해는 한국과 캐나다가 수교 60주년을 맞은 뜻깊은 해"라며 "캐나다 사절단의 평택 플랜트 방문을 계기로 한국과 캐나다 제약바이오 업체들 간의 보다 활발한 상호협력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