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와 포스코사내하청지회가 울산 중구 근로복지공단 본사 앞에서 근로복지공단의 포스코 직업암 산업재해 업무지연 규탄·직업병 전수조사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금속노조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와 포스코사내하청지회가 울산 중구 근로복지공단 본사 앞에서 근로복지공단의 포스코 직업암 산업재해 업무지연 규탄·직업병 전수조사 촉구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 금속노조

포스코에서 일을 하다가 직업암에 걸린 노동자 3명이 집단 산재신청을 한 지 1년 4개월이 지났다.

이들은 폐암·백혈병 등을 호소하며 2021년 10월 산재를 신청했지만 근로복지공단은 현재까지 산재 판정 업무를 지연해온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금속노조 등에 따르면 이들 3명은 포스코에서 30~40년 일한 노동자로 A씨는 포항제철소에서 40여년간 석회석·철광석·석탄 등 원료공급 작업을 하다가 폐암에 걸렸다.

B씨는 30여년간 롤(ROLL) 정비 작업을 하다가 폐암에 걸렸다. C씨는 30여년간 기계정비 작업을 수행한 뒤 다발성 골수종에 걸렸다.

금속노조 광주전남지부와 노조 포스코사내하청지회는 울산 중구 근로복지공단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직업암으로 신음하고 있는 포스코 노동자들의 안정적인 치료와 재활을 위해 근로복지공단이 신속하게 산업재해 판정을 내려야 한다"며 빠른 결론을 촉구했다.

노조 관계자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역학조사 진행 경과를 공개하지 않고 있다"며 "근로복지공단은 안전보건공단의 역학조사 결과를 핑계로 산재 판정을 미루고 있다"고 비판했다.

현재 안전보건공단은 2021년부터 최근까지 포스코와 하청업체를 포함한 철강제조업을 대상으로 집단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역학조사 진행 경과와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하며 고용노동부는 근로복지공단 등 산하기관에 대한 행정지도를 강화해 직업병 노동자들의 산재 승인과 재활에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포스코 측도 직업병 발생의 원인을 분석해 재발방지와 피해구제 등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