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들어 벌써 2건의 테슬라 화재 사고가 발생했다.
지난 7일 모델X 차량이 주차 상태에서 갑자기 불길에 휩싸인 데 이어 이틀 후인 9일에는 국도를 달리던 테슬라 전기차에서 불이 나 차량이 전소됐다.
소비자의 전기차 화재에 대한 불안감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전기차는 리튬이온배터리가 외부 충격을 받아 손상되거나 과전류가 흐르면 단시간 내 700도까지 오르는 열폭주 현상이 발생한다. 화재진압과 안전에 더욱 경각심이 커질 수밖에 없다.
소방당국은 '질식 소화 덮개'나 '이동식 냉각 수조' 등의 장비를 동원해 전기차 화재를 진압하지만 여전히 미흡한 점이 많다.
전기차 화재는 상당히 많은 소방인력의 투입도 필요로 한다. 지금의 시스템에서는 효율적인 화재진압과 인력투입에 어려움이 따를 수밖에 없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보급 목표를 113만 대로 설정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전기차가 도로를 달릴 전망이다.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안전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면 피해는 고스란히 소비자에게 올 수밖에 없다.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시급하다. 전기차 업체는 배터리 안정성을 높이고, 정부는 이동식 냉각 수조 확충과 함께 효율적인 화재진압 방식을 모색할 것을 촉구한다.
소방당국에 따르면 지난 9일 오후 10시 25분 세종시 국도를 달리던 테슬라 전기차에서 불이 났다.
당시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중앙분리대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마주 오던 차량과 충돌 후 불이 붙기 시작했다.
소방당국은 장비 17대, 인원 50명 등 많은 인력과 장비를 투입해 1시간 18분 만에 진화 작업을 완료했다.
하지만 운전자의 생명까지 위협받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다.
전기차 대부분에 탑재된 히든도어로 인해 사고 후 차량 문이 열리지 않았고 배터리 열폭주 현상까지 더해진 것이다.
주변 시민들의 자발적인 구조가 아니었다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운전자를 탈출시킨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차가 폭발했다는 목격담이 나올 정도로 매우 다급하고 위험했던 순간이다. 도움에 나선 시민들까지 큰 사고를 당할 수 있었다.
앞서 지난 7일에는 테슬라 모델X 화재사건이 발생했다.
서울 성동소방서에 따르면 당시 소방 동원 인원 65명, 차량 27대가 투입됐다. 내연기관차도 화재 시 많은 인원과 장비가 투입되지만 전기차만큼은 아니다.
전기차 화재는 건물 화재에 버금가는 발열량을 보이고 소화수를 아무리 많이 뿌려도 진압이 힘든 경우가 많다.
박성민 국민의힘 의원실에 따르면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전기차 화재진압 시 투입된 소방인력은 평균 33.4명, 소화수는 2만ℓ이상으로 나타났다.
실제 2020년 서울 용산에서 일어난 전기차 화재 사고 당시 무려 84명의 소방인력이 투입됐고 4만4000여ℓ의 소화수가 사용되기도 했다.
전기차 화재는 진압하는 시간이 오래 걸려 출동한 소방인력이 수 시간 동안 차 한 대 불을 끄는데 묶여 있어야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필연적으로 다른 위급 상황에 대한 공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KBS 보도에 따르면 가장 효과적인 화재 진압방식이 '이동식 수조'지만 이마저도 전국에 10여 개 정도밖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큰 문제는 해당 장비가 있다고 해도 좁은 골목이나 지하주차장 등 지형에 따라 사용하기 어렵고 수조 하나를 쓰는데 지금의 기술 수준에서는 소방관 10명 정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런 상황임에도 전기자동차 충전시설은 대부분 지하주차장에 설치돼 있다.
화재 발생시 인명·재산 피해를 키울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11월 충주시 호암동의 아파트 지하주차장에서 충전 중이던 전기 승용차에 불이 났다.
화재 차량은 아파트 관리 직원의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가 1차 진화한 뒤 외부로 옮겨져 배터리를 식히는 냉각 작업이 이뤄졌다.
지하주차장 특성상 연기가 빠지기도 어렵고 차들이 빽빽하게 주차돼 2차 사고 등 대형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충분했다. 지하주차장 내 사고 위험을 방지할 안전대책도 시급하다.
1차적으로 전기차 제조업체는 고전원 배터리 자체 품질을 높여 화재 발화 요인을 줄이는 등 차량 배터리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
다음으로 정부는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가 도래하기 전에 '이동식 수조' 등 효율적인 화재진압 장비와 인력확충, 열 폭주 현상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
사고는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른다. 소비자 시민들이 전기차를 안심하고 탈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 소비자주권시민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