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명이 숨진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사고와 관련해 시공사인 HDC현대산업개발의 책임을 묻기 위한 두 번째 비공개 청문회가 서울시에서 열린다.
서울시가 11개월이 지나도록 행정처분을 미루고 청문회를 암암리에 진행한다는 점에서 '현산 봐주기식' 솜방망이 처벌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조오섭 의원(더불어민주당·광주북구갑)에 따르면 서울시는 22일 오후 2시 시청 본청에서 외부 위원과 현산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2차 비공개 청문회를 연다.
지난 1월 11일 붕괴 사고가 발생한 지 11개월 만이자 1차 청문회가 개최된 지 4개월 만이다. 현산의 부실시공과 책임 등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사항에 관해 묻고 소명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지난 8월 22일 행정처분을 위한 절차로 1차 비공개 청문회를 열었다가 '추가 소명이 필요하다'는 현산의 요청을 받아들여 행정처분을 미뤄왔다.
조 의원에 따르면 서울시는 청문회 일정, 장소, 위원 명단 등 내용을 철저히 비공개로 진행했다.
조 의원의 청문회 관련 질의에도 서울시는 "공개될 경우 업무의 공정한 수행에 지장을 미칠 수 있다"며 답변을 모두 거절했다.
조오섭 의원은 "서울시는 사고 발생 초기 현산에 대한 국민적 공분이 일자 엄중한 처분을 하겠다고 공언하고도 행정처분을 11개월 넘게 차일피일 미뤄왔다"며 "분노가 가라앉길 기다렸다가 봐주기식 처분을 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많다"고 지적했다.
이어 "행정처분 과정과 절차가 투명하게 이뤄지지 않는다면 이런 의혹을 불식할 수 없을 것"이라며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도 결정 과정이나 판단 근거 등을 공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