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위원회가 다음달 ESG 공시 제도 초안 발표를 앞두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DB
▲ 금융위원회가 다음달 ESG 공시 제도 초안 발표를 앞두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 세이프타임즈 DB

2026년 이후 도입이 예정된 ESG(환경·사회책임·지배구조) 공시를 두고 적응할 시간을 달라는 기업들의 요청에 따라 가치사슬 내(스코프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가 도입 후 3년 동안 면제될 예정이다. 또다른 관건으로는 ESG 공시 본격 도입 시점이 꼽힌다.

19일 금융업계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다음달 예정된 ESG 공시 제도 초안 발표를 앞두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ESG 공시는 그간 기업이 각자의 기준에 따라 자율적으로 공개했던 ESG 관련 사안을 통일된 기준에 맞추는 작업이다.

자산 2조원 이상 유가증권시장(코스피) 상장사 240여곳의 거래소 공시로 시작해 전체 상장사에 의무화한다. 금융당국은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ESG 공시 기준을 바탕으로 재계·회계업계·학계 등과 함께 국내 공시 기준을 만들고 있다.

금융당국은 제도 도입 후 3년동안은 협력사까지 포함한 가치사슬 내(스코프3)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를 면제할 예정이다. 도입 첫 해에만 공시 요건에서 빼주는 국제 기준안에 비해 일부 완화했다.

스코프3는 국내외 생산기지와 제품 유통망, 협력업체까지 아우르는 범위다. 원칙상 기업이 추정치를 공시할 수 있지만 추정치의 근거가 될 기초 데이터 측정·검증만 해도 1년 이상 걸릴 것이라는 게 기업들의 입장이다. 

ESG 공시 도입 시점도 기업들의 주요 관심사로 꼽힌다. 당국은 2025년 자산 2조원 이상 코스피 상장사를 시작으로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는 방침이었지만 작년 말 이를 2026년 이후로 미뤘다.

각국별 ESG 공시기준의 표준 격인 ISSB의 공시기준이 작년 6월에야 나온 영향이다.

ESG 공시 도입 시점을 놓고 이견이 뚜렷하다.

재계는 대체로 2029년 이후를 원하는 분위기다. 유럽연합(EU)이 EU에 진출한 역외국가 기업에 대해 ESG 공시를 의무화하는 해다. 이전까진 국내 별도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관련 데이터 취합·검증, 대응 체계 마련 등을 위해 시간을 달라는 의미다.

금융투자업계와 회계법인, 법조계 등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다는 입장이다. ESG 투자를 늘리고 있는 자산운용사 등은 ESG 공시를 투자 지표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속한 도입을 요구하고 있다.

회계법인과 법조계는 신속한 ESG 공시 의무화와 함께 ESG 공시 외부 인증제 도입도 주장한다. 이들 업계엔 ESG 공시 감사·인증 사업이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어서다.

한편 지속가능성 관련 사안 전반을 아우르는 ESG 공시 각 분야에 대해선 우선 순위를 둘 방침이다. 기후·생물다양성·인권 등 ESG 공시 분야 중 기후 공시만 우선 적용할 예정이다.

나머지 관련 사안은 기업이 자율 선택할 수 있다.

경영진 성과지표를 포함한 경영진 보상정책을 ESG 공시 서식에 넣을 전망이다. 경영진이 ESG에 중점을 두고 경영활동을 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기업들은 임원 성과 지표를 공시에 구체적으로 나열하는 것은 과도한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 

기업이 배출하는 온실가스에 대해 자체적으로 가격을 책정한 금액인 내부탄소가격도 공시하게 할 예정이다. 다만 미래 탄소 가격을 예측해 가격을 공시해야 하기 때문에 혼란이 있을 것이란 게 중론이다.

정부는 유관 업계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구체적인 ESG 공시 도입 시기를 추후 확정할 예정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지난 14일 "기업들의 준비 상황을 고려해 ESG 공시를 단계적으로 도입할 것"이라며 "해외 규제와 글로벌 자본시장 영향을 받는 대형 상장사부터 도입하고 이후 국내 시장 여건 등을 감안해 차차 대상 기업을 늘릴 방침"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