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는 런던의정서 당사국회의에 참석해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류 움직임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고 16일 밝혔다.
14~15일 화상으로 진행된 당사국회의는 폐기물의 해양투기 금지에 관한 당사국의 이행방안을 논의하는 회의체다. 한국은 1993년 런던협약, 2009년 런던의정서에 가입해 회원국으로 활동하고 있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방사성 폐기물 관리' 등 대부분 의제에 대한 논의가 내년으로 연기됐다. 그러나 한국 측은 일본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 움직임을 고려해 논의를 늦출 수 없다는 판단에 따라 주요 의제 대해 제출하는 의견서를 이 문제 논의되도록 했다.
해수부는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문제가 런던의정서에서 논의돼야 할 문제라는 점, 일본이 투명한 정보를 제공하고 인접 국가를 포함한 국제사회와 충분히 소통·논의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일본은 해당 사안은 선박 등으로부터 해상 투기가 아닌 연안에서의 방류이므로 런던의정서 안에서 논의 사안이 아니라는 기존 주장을 되풀이했다.
일본 측은 방사능 오염수 방출에 대해 국제사회와 인접 국가에 계속 관련 정보를 공유하겠다고 밝혔다.
당사국회의에서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처리문제는 런던의정서 안에서 논의할 문제가 아니라는 의견이 많았다. 그러나 양국의 입장 차이와 관련해 회원국 가운데 일부는 기존의 태도를 바꿔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문제를 런던의정서에서 다룰 필요가 있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송명달 해양환경정책관은 "시간제약이 있는 화상회의의 여건상 양측의 의견이 접점을 이루기 어려웠다"며 "세계가 공유하는 해양의 안전한 이용을 위해 투명한 절차를 거쳐 원전 오염수 처리방안이 결정될 수 있도록 일본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청하고 대응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세이프타임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