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82명 전원 안전 이송 … 정치 공세 자제해야"
오세훈 서울시장은 15일 발생한 한강버스 멈춤 사고에 대해 시민 불편을 사과하고 "승객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다"고 16일 밝혔다.
오 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서 "주말을 맞아 한강버스를 선택한 시민 여러분 모두 소중한 일상과 사정이 있으셨을 텐데 예상치 못한 사고로 큰 불편을 겪으셨을 것"이라며 "관리·감독 책임자로서 송구하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원인을 철저히 파악해 부족한 부분은 신속히 보완하겠다"며 "서울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시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두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전 문제를 정치 공세의 도구로 삼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냉정한 점검과 실질적 개선"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한강버스가 시행착오를 개선해 시민의 일상에 온전히 정착할 때까지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이날 이민경 대변인 명의의 공식 입장문에서도 사고 경위를 설명하고 재차 사과했다.
서울시는 "사고 발생 즉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했고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밝혔다.
시는 사고 직후 수난구조대·한강경찰대·한강본부에 즉시 신고하고 구조정을 투입했으며, 오후 9시 18분까지 승객 82명을 잠실선착장으로 안전 이송해 귀가 조치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았고 구조·대응 체계는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운영됐다"며 "선박 외형 파손이나 기계적 손상은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사고 원인은 "토사 퇴적으로 항로 수심이 얕아진 것으로 추정된다"며 "만조 시간대 이동 조치를 거쳐 정밀 점검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한강버스 운영 초기부터 선박 안전성 강화, 수위 모니터링 고도화, 선착장 관리 개선 등 다중 안전망을 지속 개선해왔다고 강조했다.
시는 "모든 사고·오류 사례는 즉시 공개해 조처해왔고 안전을 소홀히 한 사실이 없다"며 "안전 문제를 과장해 정치 공세로 활용하거나 시민 불안을 키워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정치권은 사고 직후 책임 공방을 벌였다.
더불어민주당은 오 시장을 향해 "서울시민의 생명을 건 운항을 전면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김민석 국무총리도 서울시에 사고 원인 규명과 안전 점검을 지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