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인사이트 '주례 소비자 체감 경제 조사' 결과
상·하반기 '주관적 삶의 질 평가' 집단별로 큰 차이
40대·진보·호남거주자·정규직 근로자 '부정평가' 늘고
60대·대구·경북·무직·퇴직자·학생·사업자 '긍정' 이동

이념성향 등 계층별 갈등이 날로 심해지는 가운데 지난해 대선 때 누구를 지지했냐에 따라 소비자가 스스로 평가하는 삶의 질에 큰 차이가 있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리서치 전문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26일 공개한 '주례 소비자체감경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의 삶의 질 평가지수는 상반기 평균 82.7에서 하반기 79.3으로 하락했다.

대부분 집단의 평가가 부정 쪽으로 이동했다. 이례적인 것은 그동안 대체로 일정했던 연령대별 등락 폭과 순위가 처음으로 크게 달라진 점이다.

평소 '삶의 질'에 대한 평가가 부정적이던 60대는 긍정적으로 변한 반면 비교적 긍정적이던 30~50대는 크게 부정적으로 변했다.

컨슈머인사이트가 세밀한 원인 분석을 위해 응답자 특성을 좀 더 나눠 본 결과, 각 집단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주관적 평가가 크게 엇갈렸음이 확인됐다.

40대, 진보성향, 호남권, 정규직 근로자의 부정 이동이 매우 두드러졌다. 특히 40대는 상반기 삶의 질 평가지수 82.3에서 하반기 73.9로 하락해 변동폭이 -8.4로 가장 컸다.

이어 진보(-7.4), 정규직(-6.9), 호남(-6.7) 순으로 부정 평가가 늘었다. 이에 비해 60대(+3.6), 무직∙퇴직(+2.4), 학생(+1.5), 대구∙경북(+1.0), 사업자(+0.4) 집단은 오히려 긍정 평가가 증가했다. 20대(-0.4), 보수(-1.0), 전업주부(-1.1) 계층은 약보합으로, 삶의 질 평가에 큰 변화가 없었다.

공교롭게도 20대 대선에서 이재명 지지 성향이 강했던 집단(40대, 진보, 호남, 정규직)에서 체감경제 평가가 크게 부정적으로 변한 반면 윤석열 지지세가 강했던 집단(60대, 무직∙퇴직, 학생, 대구∙경북, 20대)에서는 긍정 이동 또는 보합이 나타났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정치 성향과 삶의 질 평가의 인과관계를 좀 더 검증하기 위해 응답자 특성을 27개(성x연령 10개, 광역지자체 17개)로 세분하고 정권 교체일(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 전후 삶의 질 평가 변화와 대선후보 지지성향을 비교했다. 그 결과도 일치했다.

▲ 집중호우 피해 현장 방문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이 충남 공주시 탄천면 비닐하우스 농가를 둘러보고 있다. ⓒ 연합뉴스
▲ 집중호우 피해 현장 방문에 나선 윤석열 대통령이 충남 공주시 탄천면 비닐하우스 농가를 둘러보고 있다. ⓒ 연합뉴스

이재명 후보 지지 성향(윤석열-이재명 득표율, %)은 전남(-74.7%), 광주(-72.1%), 전북(-68.6%)이 압도적이었다. 이어 남성 40대(-25.8%), 여성 40대(-24.4%) 순으로 높았다.

이들 집단은 취임일 전후 삶의 질 평가지수가 최대 -11.0p까지 큰 폭으로 부정 이동했다.

반면 윤석열 후보 지지 성향이 높았던 대구(+53.5%), 경북(+49.0%), 여성 60대(+34.2%), 남성 60대(+29.4%)의 삶의 질 평가 지수는 오히려 최대 7.0p 상승했다는 설명이다.

그 밖의 집단은 대선 득표율과 삶의 질 평가의 변화 순위에 큰 차이가 없었는데 세종시는 예외적이다. 세종시가 이재명 후보 지지 성향이 다소 우세(-7.8%)한 지역이긴 했지만 삶의 질 평가 하락폭(-7.2%)은 모든 집단 중 두번째로 컸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정동리 일대 포도 농가에서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충남 부여군 부여읍 정동리 일대 포도 농가에서 수해복구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정권교체 이후 조직 개편과 정책 변화에 직면한 공무원 집단, 이재명 지지세가 강한 40~50대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특성 때문으로 컨슈머인사이트는 해석했다.

대선 득표율과 삶의 질 평가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순위상관계수(Spearman's Correlation)를 적용한 결과는 0.699였다.

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밀접하고 0.6 이상이면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고 보는데 이를 감안하면 개인의 정치성향과 삶의 질 평가 사이에는 유의한 수준의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분석이다.

컨슈머인사이트는 "소비자의 전반적인 삶의 질 평가 하락에 영향을 준 큰 요인이 작년 하반기 나타난 금리와 물가의 급상승이기도 하지만 그것만으로 집단간 유례없는 변화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했다"고 전제하고 "20대 대선과 그에 따른 정권교체에 주목한 결과 집단별 삶의 질 평가 변화와 순위상관계수 모두에서 생각했던 이상으로 투표 행동과 삶의 질 평가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