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보건연구원들이 야외공원에서 진드기를 채취하고 있다.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 서울시보건연구원들이 야외공원에서 진드기를 채취하고 있다. ⓒ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숲모기 감시사업과 유문등을 이용한 모기감시사업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숲모기 감시사업은 지난 4월부터 지난달까지 생태공원을 비롯한 도시근린공원을 중심으로 진행됐고 모기감시사업은 서울지역 25개구 51개 지역에서 유문등을 이용해 진행했다.

기간 중 발견된 모기 가운데 일본뇌염, 뎅기열 등을 전파하는 매개모기는 464개체로 확인됐고 병원체는 발견되지 않았다.

매개모기는 감염병 전파의 전달자 역할을 하는 모기를 말하고 일본뇌염, 뎅기열 등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와 말라리아를 매개하는 얼룩날개모기속 등이 있다.

올해는 모기 개체수가 지난해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특히 늦가을 모기가 지난달까지 극성을 부려 시민 불편이 많았다.

검사에서 병원체는 검출되지 않았지만 매개모기 개체수 증가와 더불어 출현시기 또한 빨라지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구원에서는 매개모기가 발견된 지역에 지속적인 방역을 요청했다.

연구원은 야외 활동이 많은 5~11월까지 한강공원을 비롯한 도시근린공원, 산책로, 하천변을 중심으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일으키는 참진드기의 서식 분포를 조사했다. 조사된 진드기 900여 개체에서 SFTS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SFTS는 진드기 체내에서 서식하는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일으키는 감염병으로 혈소판, 백혈구 감소와 구토와 설사를 유발한다. 아직 백신과 치료제가 없어 치명률이 18.4%에 달한다.

이 조사는 보건환경연구원, 한강사업본부, 동부·서부·중부 공원여가센터가 합동으로 야생동물 출몰 지역, 시민과 반려동물이 자주 이용하는 한강공원, 생태공원, 산책로 등 진드기 서식이 예상되는 지점을 대상으로 진행했다.

신용승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장은 "야외활동 중 위험한 병원성 바이러스를 매개하는 모기와 진드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피부노출 방지와 야외활동 예방수칙을 준수할길 바란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