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보건원 2029년까지 구축

정부가 10년 안에 환자 100만명의 데이터를 구축해 난치병 치료와 표적항암제 등에 사용키로 했다.

22일 발표된 '바이오헬스 산업 혁신전략'에 따르면 정부는 5대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신약개발과 의료기술 연구를 위한 국가 인프라로 활용할 계획이다.

국립보건원은 암·희귀난치질환 환자 40만명과 환자 가족 60만명의 데이터를 모을 예정이다. '헌터 증후군' 등 난치병 환자단체는 그동안 유전질환의 원인 규명을 위해 빅데이터 연구를 해야한다는 의견을 제시해 왔다.

정부는 환자의 유전체, 의료이용, 건강상태 등 빅데이터를 수집해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에 보관하면서 맞춤형 신약·의료기술 연구에 활용할 계획이다. 정부는 환자의 개인 정보가 유출되지 않기 위해 바이오 빅데이터를 사용 지정 병원에만 제공할 방침이다. 

우리나라 병원이 보유한 진료 빅데이터는 핀란드 인구 556만명보다 큰 규모다. 정부는 데이터가 신약 연구에만 활용되도록 플랫폼을 마련해 내년부터 시행한다.

환자별 맞춤형 신약은 난치병, 암 등 질병 치료에 효과를 보일 것으로 보고 있다. 특이유전자 변이로 차도가 없는 폐암 환자도 표적항암제를 처방하면 단기간에 호전될 수 있다.

정부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약개발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신약 후보물질은 1만개로 임상시험에 통과하는 물질은 1~2개에 불과하다. 동물시험과 임상시험을 통과하려면 최소 10년이 소요되고 개발비도 1조원 이상 든다.

정부는 인공지능으로 후보물질과 표적질환을 찾아내 신약개발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절반 이상 줄일 계획이다. 인체장기를 모사한 조직을 개발해 동물실험을 하지 않고 신약 물질의 효능과 독성을 검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우리나라는 세계적 수준의 정보통신기술, 병원 시스템, 의료 데이터를 갖고 있어 바이오헬스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며 "빅데이터를 구축해 희귀난치병을 극복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