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성동구 주민이 성동구 청사 입구에 설치된 자동 소독분사기를 지나고 있다. ⓒ 성동구
▲ 서울 성동구 주민이 성동구 청사 입구에 설치된 자동 소독분사기를 지나고 있다. ⓒ 성동구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코로나 방역 효과가 없는 전신 소독기 구매에 지난 3년간 40여억원을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환경운동연합이 정보공개청구로부터 확보한 자료에 따르면 정부부처와 산하기관·지자체 34곳은 2020년 2월부터 지난 6월까지 전신 소독기 203대를 구매해 구청·사회복지시설 등 153개 기관에 설치했다.

203대를 사는 데 40여억원이 쓰였을 것으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확인 가능한 139대 구매 비용은 모두 28억3033만원으로 한 대당 평균 2036만원 꼴이다.

전신 소독기는 터널을 지나거나 캐비넷에 들어가는 형태로 나뉘며 초음파·자외선(UV)을 쬐거나 소독제를 뿌리는 방식이다.

다만 바이러스 감염 예방엔 효과가 없으며 오히려 건강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지난해 5월 발표한 '코로나 대응 집단시설·다중이용시설 소독 안내'에 따르면 초음파, 고강도 자외선, 엘이디(LED) 청색광 등 소독 방법은 코로나 바이러스 (예방) 효과성이 입증되지 않았다.

올해 바뀐 지침에선 "소독제 분사를 어떤 경우에도 금지한다"고 했다.

그럼에도 일부 기관에선 여전히 소독제 분사 방식의 소독기를 사용하고 있었다.

서울시는 2020년 12월부터 2021년 1월 소독제를 사람에게 뿌리는 기계 2대를 구매해 기저질환자·고령층이 많은 노숙인 복지시설(브릿지종합지원센터·영등포보현종합지원센터)에서 활용했다.

이밖에 보건복지부 산하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춘천병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 지리산국립공원 경남사무소, 국방부 육군본부와 다수의 육군 부대 등에서도 소독제 분사 전신 소독기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방역조치가 완화된 올해도 인천시청(1대), 대전 동구청(3대),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1대)가 전신 소독제(자외선 활용)를 구매했다.

이들 기관은 "방역 효과가 없다는 걸 몰랐다"거나 "살균 효과 시험성적서가 있는 제품이라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다"고 해명했다.

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방역 효과와 안전이 입증되지 않은 전신 소독기를 여전히 사용하는 건 문제"라며 "조속히 사용을 중단하고 사용 실태를 전수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