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아파트에서 전단 보강근 누락이 발견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LH
▲ 한국토지주택공사가 발주한 아파트에서 전단 보강근 누락이 발견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라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LH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발주한 아파트에서 무량판 구조에 필수적인 전단 보강근(보강 철근)누락이 밝혀진 가운데 원인을 찾아 재발 방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철근 누락으로 문제가 된 15개 아파트 가운데 설계 문제로 나타난 곳은 10곳이다.

7개 아파트 설계 업체는 설계 도면 작성 전 단계에서 전단보강근이 필요한 곳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고 3개 아파트를 맡은 업체는 전단보강근 상세도를 미흡하게 작성했다.

구조 계산 입력 단계에서 오류가 발생하거나 설계 변경 부분이 계산에서 누락되기도 했다.

지난 4월 인천 검단아파트 지하주차장 붕괴 사고의 경우도 32개 기둥에 필요한 전단보강근을 18개 기둥에만 적용한다고 도면에 표시된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설계 오류는 설계 업체의 기술력이나 숙련도 부족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무량판 구조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한 설계사무소들이 LH 전관을 영입해 해당 용역 입찰에 성공했을 것이라는 추측도 나온다.

인천 검단아파트의 철근 상세도면은 GS건설이 작성한 후 감리자가 확인해 승인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감리자는 상세도면의 전단보강근 누락을 알아채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감리사는 "감리원을 소수 보유하고 있는 작은 회사의 경우 큰 아파트 현장에서 철근 배근이나 누락 등의 오류를 일일이 확인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고 말했다.

공사기간 단축에 대한 압박도 철근 누락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대부분의 아파트는 선분양제로 착공 전에 이미 입주 시기가 정해지는 경우가 많다.

건설 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입주 날짜를 지키지 못하면 시행사나 시공사에서 배상해야 하기 때문에 공사 기간을 꼭 지켜야 한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사 기간 엄수에 대한 압박 때문에 꼼꼼하게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며 "아파트 분양제도에 대해 전체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키워드

#LH #철근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