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한국 광복군 17위의 합동 안장식이 열리고 있다. ⓒ 연합뉴스
▲ 14일 국립대전현충원에서 한국 광복군 17위의 합동 안장식이 열리고 있다. ⓒ 연합뉴스

서울 수유리 광복군 합동묘역에 안장됐던 선열 17위가 광복 77년 만에 국립묘지에서 영면에 들었다.

국가보훈처는 14일 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한국광복군 17위의 합동 봉송식에 이어 오후 4시 대전현충원에서 합동 안장식을 거행했다.

합동 봉송식과 안장식에는 수유리 광복군 선열 중 백정현 지사의 조카 백공수씨, 이도순 지사의 외손 김대진씨, 이한기 지사의 종손 이세훈씨 등과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 등 광복군 후손들이 참석했다.

애국선열 17위의 영현은 지난 11일 광복군 합동묘소 개장 후 서울현충원에 임시 안치된 채 국민 추모 기간을 지내고 이날 대전현충원으로 봉송됐다.

서울현충원에서 거행된 합동 봉송식에는 윤석열 대통령이 주빈으로 참석해 충열대와 광복군 김천성·이재현 묘소에 참배하고 17위 영현에 헌화하고 추모사를 낭독했다.

윤 대통령은 추모사에서 "우리가 마음껏 누리는 자유는 일제강점기의 암울한 현실과 절망 속에서도 오직 자유와 조국의 독립을 위해 자신의 목숨을 초개와 같이 던진 분들의 희생 위에 서 있는 것"이라며 "조국의 독립을 위해 이름도 남김없이 쓰러져갔던 영웅들을 우리가 끝까지 기억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봉송식 후 선열 17위 영현은 국방부 의장대와 경찰 호위 속에 영현별 봉송차 1대씩 총 17대로 서울현충원에서 대전현충원으로 이동했다.

광복군 17위는 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7묘역에 조성된 '수유리 한국광복군 합동 묘역'에 개별 안장됐다.

참배단에는 17위의 이름과 공적, 수유리 한국광복군 묘비에 각인되어 있던 비문이 함께 새겨졌다.

▲ 대전현충원 독립운동가 묘소에 묵념을 하고 있다ㆍ ⓒ 오선이 기자
▲ 대전현충원 독립운동가 묘소에 묵념을 하고 있다. ⓒ 오선이 기자

수유리 광복군 17위가 더해지면서 대전현충원에 안장된 광복군은 360위로 늘었다.

대전현충원에 영면한 광복군 17위 중 김유신(1991년·애국장), 김찬원(1991년·애국장), 백정현(1991년·애국장), 이해순(1991년·애국장), 현이평(1995년·애국장), 김순근(1990년·애족장), 김성률(1991년·애족장), 김운백(1991년·애족장), 문학준(1991년·애족장), 안일용(1991년·애족장), 전일묵(1991년·애족장), 정상섭(1991년·애족장), 한휘(2022년·애족장), 이한기(1990년·애족장), 이도순(1990년·애족장) 등 13명은 중국 지역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순국했다.

이한기(1990년·애족장), 이도순(1990년·애족장), 동방석(1990년·애족장), 조대균(1990년·애족장 등 4명은 광복 후 국내 등에서 세상을 떴다.

이들은 1990년 이후 차례로 독립유공자 포상을 받았으나, 대부분 젊은 나이에 순국해 후손이 없어 70년 넘게 국립묘지로 이장되지 않았다.

수유리 광복군 17위 중 유일하게 독립유공자 서훈이 이뤄지지 않았던 한휘 애국지사에게 이날 합동 봉송식에서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됐다. 한 지사는 후손이 없어 한국광복군기념사업회 이형진 회장이 대리로 훈장을 받았다.

한 지사는 1942녀 5월 광복군 제2지대로 입대해 한국청년간부훈련반을 수료했으며 중국 허베이성·허난성 등지에서 정보수집 및 일본군 내 한국인 병사들을 광복군으로 끌어들이는 '초모(모집)공작' 등의 활동을 펼쳤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