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종 작가 칼럼니스트
▲ 박근종 작가 칼럼니스트

지난 겨울에는 호남을 비롯한 서해안 지역이 눈 폭탄을 맞아 피해가 속출했다. 그런 가운데서도 호남지역의 극심한 겨울 가뭄으로 물 부족 현상이 여간 심각한 게 아니다. 눈 폭탄이라고 할 만큼 눈은 많이 내리는데 가뭄이라는 말이 이해되지 않을 정도로 눈이 강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그다지 크지 않았다는 이야기다.

그런가 하면 강원 동해안을 중심으로 건조 특보가 지속해 이어지고 동해안 특유의 강풍으로 대형 산불에 대한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는 지난 1일부터 5월 15일까지를 '산림보호법' 재31조 및 '산림보호법시행령' 제22조의 규정에 근거해 '봄철 산불조심기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올해도 '봄철 산불조심기간'을 맞아 산불방지대책본부 운영을 비롯해 비상 체계에 돌입한 가운데 농촌주민들도 영농폐기물 소각 자제 등 적극적인 관심과 동참이 요구된다. 기후변화로 초대형화 추세인 산불을 방지하고, 소중한 산림자원과 재산, 생명을 지키기 위해 위기의식을 갖고 대응하자는 것이다.

산림청 통계를 보면 최근 10년(2013~2022) 동안 연평균 535.4건이 발생해 355만8672ha의 산림을 태운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만도 지난 6일까지 37건이 발생해 16.52ha의 산림을 태웠다.

돌이켜보면 지난 2022년은 겨울 가뭄 끝에 발생한 대형 산불로 국가적 손실이 컸다. 무려 742건이나 발생해 24,787.5ha의 산림이 탔다. 주택 및 농업시설물 소실, 임산물 주산지 등이 초토화됐다. 복구비용과 공익적 가치 훼손 등을 포함하면 1조3400억원이 넘는 피해가 발생한 것이다.

지난해 3월 4일부터 13일까지 213시간이나 불탄 울진산불은 역대 최장 산불이었고, 비슷한 시기에 전국 10여 곳에서 동시다발로 산불이 발생해 진화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건조한 날씨 탓에 화재 발생 위험도가 높은 '봄철 산불조심기간'이 아닌 초여름인 5월 31일부터 6월 5일까지도 밀양산불이 나면서 대형 산불이 연중 발생할 수 있다는 취약성을 보여줬다.

이렇듯 상황이 변화하고 있는 추세인 만큼 산불예측시스템의 고도화, 임도나 진화인력의 확충, 장비의 현대화를 포함해 산불위기 대응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산불 예방에 힘을 쏟는 것이다.

최근 10년간 산불 발생원인을 분석해보면 연평균 발생 535.4건 중에서 32.57%인 174.4건이 입산자 실화였다. 12.79%인 68.5건이 쓰레기 소각이었으며, 5.62%인 30.1건이 담뱃불 실화였고, 5.58%인 29.9건이 주택화재 비화 순으로 발생했다.

나머지는 기타로 통계관리를 하고 있다. 이렇듯 산불 발생 주된 원인이 입산자 실화, 쓰레기 소각, 담뱃불 실화와 같은 사소한 부주의에서 기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농촌주민들이 경각심을 갖고, 산림 인접지에서 논·밭두렁이나 영농부산물 등을 소각하는 행위를 자제하는 것이 삶의 터전을 지키는 최선의 대비책이란 것을 강조한다.

지난 1월 29일(현지 시각)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 국립기상청(NSW)을 인용해 뉴욕시에 326일간 눈이 내리지 않으면서 1973년에 세워진 역대 최장 눈 가뭄 기록을 경신했다고 보도했다.

비단 우리나라만의 일이 아닌 듯하다. 이번 겨울 가뭄과 봄철 건조기후는 산불 발생 우려만큼 농업용수 확보에도 많은 어려움이 봉착할 것으로 보인다. 당연히 산불 진화를 위한 헬기용 소방용수 공급에도 영향이 클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도 산불 예방이 중시되는 대목이다. 거안사위(居安思危)와 초윤장산(礎潤張傘)의 심정으로 산불 예방을 촘촘히 챙겨야 할 이유다.

■ 박근종 작가·칼럼니스트 △현 서울시자치구 공단 이사장 연합회장 △성북구도시관리공단 이사장 △전 소방준감 △전 서울소방본부 제1방면 지휘 본부장 △전 종로·송파·관악·성북소방서장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