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센터 확장하고 각종 첨단시스템 도입

▲ 응급진료센터 입구 및 구급차량 주차장

대다수 대형병원 응급실에 가보면 '시장통'이라 불릴 정도로 복잡하고 어수선하다.

세브란스병원이 이같은 응급의료 시스템의 고질병을 해소하기 위해 응급진료센터를 전면 개편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세브란스병원 관계자는 "환자 과밀화 문제를 최대한 줄이고, 더 강화된 감염방지 대책을 갖춘 새로운 응급진료센터를 이달부터 본격 운영한다"고 11일 밝혔다.

개편한 응급진료센터에서 가장 주목할 부분은 바로 '공간 활용'이다. 세브란스병원은 센터의 전용 면적을 기존 1520㎡에서 3300㎡로 220% 확장해 환자 과밀화 문제 해소에 신경을 썼다.

장례식장 우측에 있는 응급진료센터의 출입구는 3곳으로 구분했다. 우선 개별적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를 위한 주 출입구가 있다. 응급차량으로 후송 온 환자가 침대에 누워 바로 들어가는 출입구와 고열이 감지돼 격리 관찰이 필요한 환자 출입구가 별도 마련됐다.

환자와 보호자를 위한 대기실도 충분한 면적을 확보해 쾌적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백화점 휴게실과 같은 편안한 공간에서 환자와 보호자가 4단계로 구분한 전자 현황판을 통해 예정된 진료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응급진료센터 대기실

박인철 응급진료센터 소장(응급의학과)은 "혼잡을 줄이기 위해 국가 권고 규정인 침상 간격 1.5m를 훌쩍 넘겨 모든 1인실 침상 간격을 2.5m, 2인실 침상 간격을 5m로 확보했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은 신속한 진료 흐름을 위해 전문 간호사가 시행하는 내원 환자분류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한국형 응급환자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환자 중증도에 따라 최고등급인 1등급부터 5등급으로 구분한 뒤 이 가운데 1~3등급으로 판정받은 중증환자는 연령에 따라 성인 응급 구역과 소아 응급 구역으로 나눠 배치하는 방식이다.

특히 성인 응급 구역은 블루존(Blue Zone), 소아 응급 구역은 핑크존(Pink Zone), 중증도가 낮은 응급환자 구역은 오렌지존(Orange Zone)으로 구분해 누구나 쉽게 진료 시스템을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감염 예방을 위해 폐쇄회로 카메라(CCTV)와 발열 감지 카메라를 설치해 출입문 개폐장치와 연동시킴으로써 발열 환자의 출입을 원천 봉쇄한 점도 특징이다.

출입구마다 배치된 응급진료센터 안내요원이 의심 환자에게 해외여행 경험 여부 등 감염 징후 사안을 문의하고, 감염의심 환자에 해당하는 경우라면 별도의 발열ㆍ감염환자용 출입구로 유도하고 있다.

▲ 격벽 차단 시설

일반적으로 응급실은 고가의 장비가 많고, 전문인력이 상주해야 하므로 운영하면 운영할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세브란스병원은 '감염환자의 철저한 관리'라는 병원 설립 이념에 발맞춰 이같은 도전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박 소장은 "세브란스병원은 1987년 국내 최초로 응급의학과를 개설하는 등 국내 응급의료 시스템의 발전을 선도적으로 이끌고 있다"며 "수익성보다 환자와 보호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 제공에 집중해 제중원 시절부터 133년 동안 이어온 전통을 계승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누구나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드는 언론 세이프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