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DS부문, 7만명 직원 민감정보 관리 실태 확인
노조 "공익제보자 색출, PC 반납 협박" 주장 사측 "정보유출 사건 조사 위한 조치일 뿐"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인사평가와 노조관리 개입 정황이 발견된 가운데 삼성전자에서도 7만명이 넘는 개인정보와 20만개의 고과평가 등이 담겨있는 내부망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일 삼성그룹 초기업노조 삼성전자 지부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DS부문 7만5000명에 대한 △생년월일 △학력 △입사경위 △결혼여부 등 직원정보가 무분별하게 방치되어 있었다.
노조에 따르면 51세에 도달한 조합원은 사업지원팀이 요청한 면담에 응하자 희망퇴직 의사를 물었다는 제보가 들어왔다.
또 커리어패스와 직무재설계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사업부 강제전배를 당사자 의사와 관계없이 진행하고 있었다고 주장했다.
내부망에는 삼성바이오 정보유출 사태 때 가장 논란이 됐던 직원 마음건강센터 이용여부에 대한 내용도 있었다.
노조는 "마음건강 치료이력을 비롯해 10년이 지난 과거부터의 고과·상향평가 이력, 하위·상위고가 사유 등 공개하면 안 되는 정보들이 있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같은 삼성전자의 행태는 개인정보침해와 의료법 위반 소지가 있다"며 "다양한 관리자료가 과거부터 보관되어 있다는 점은 시급한 조사가 필요해 보이기에 고용노동청에 근로감독을 신청했다"고 덧붙였다.
노조는 이같은 사태에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는 정부기관과 삼성을 비판하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삼성바이오를 비롯해 삼성전자에서도 발생한 본 사태는 분명히 이슈가 큰 사항인데 정부기관이나 삼성 준법감시위원회는 아무런 입장이 없다"며 "몇 번을 이슈화 했는데도 불구하고 아무런 움직임이 없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임직원들이 문서 등을 업로드하는 과정에서 공유권한 설정실수로 모든 직원이 볼 수 있는 EDM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일이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즉각 시정조치했으며 직원 개인정보를 비롯한 자료가 외부에 유출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노조는 "삼성 정보보호그룹에서 공익제보자를 찾았고 PC를 탈취하려는 내용을 확인했다"며 "PC를 반납하지 않으면 해고도 가능하다고 협박을 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노조가 우려한 정보유출 사건에 대해 조사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