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친상 휴가도 제대로 안줬다" … 쿠팡 '노동착취' 가열
택배노조 2020년부터 25명 사망 노동자 생명보다 '영업차질' 우선 특검, 사회정의 왜곡 단죄 목소리
쿠팡이 노동자의 생명보다 영업차질을 우선하며 과로를 강제해 왔다는 노동계 주장이 거세지고 있다.
전국택배노동조합과 시민·노동단체 집계에 따르면 쿠팡에선 2020년부터 현재까지 25명의 노동자가 사망했다.
노동계는 고강도 물류 시스템과 무한 속도 경쟁, 야간 노동 강제, 해고 위협이 반복되는 사망의 구조적 원인이라고 규정했다.
'쿠팡의 노동 착취 논란'은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임명한 안권섭 특검의 수사 대상에 오르면서 법적 책임 문제로까지 확산되고 있다.
18일 택배노조에 따르면 지난 10일 제주에서 새벽배송을 마치고 귀가하던 쿠팡 협력업체 소속 오승용씨는 운행 중 전신주와 충돌해 사망했다.
택배노조의 2차 자체 진상조사에 따르면 그는 사망 전 하루 11시간 30분씩 주 6일 근무해 주 평균 69시간을 노동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기에 야간근무 30% 할증을 적용하면 83.4시간에 달하는 수준이다. 이는 과로로 산재 인정을 받은 쿠팡 심야배송 노동자 고 정슬기씨의 주 평균 노동시간 74시간 24분을 크게 넘는 '기록'이다.
노조는 이를 두고 쿠팡이 홍보해온 '격주 주 5일제'가 현장에서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는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노조는 고 오승용씨가 과중한 업무로 부친의 임종조차 지키지 못했다고 밝혔다.
그는 장례에서 상주로 3일을 보낸 뒤 일반적 관례인 5일 부친상을 고려해 추가 휴식 2일을 요청했지만 대리점은 하루만 허용했다. 충분한 회복없이 업무에 투입된 그는 귀가 길에 사고로 숨졌다.
택배노조 관계자는 "과로를 강제하며 장례 후 쉴 권리마저 박탈한 것은 인간의 존엄성을 짓밟는 행위"라며 "쿠팡 경영진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모는 환경에 대해 즉시 답하고 사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쿠팡 노동이 달리기 수준의 고강도 노동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14일 열린 '쿠팡 새벽배송 노동자·소비자·사회단체 집담회'에서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유청희 활동가는 "쿠팡 노동은 분당 14.69점의 노동강도로 달리기와 유사한 수준"이라며 "노동 환경은 발암물질로 분류되는 야간노동에 상시적으로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참석자들은 쿠팡이 신속 야간 배송을 명분으로 사실상 규제 부재 상태에서 노동자를 혹사시키고 있다고 주장했다.
참석자들은 쿠팡 야간 마감이 7시지만 배송 노동자들은 새벽 4시까지 물량을 받으며, 이후 현장이 주간 작업 준비를 위해 돌아간다고 밝혔다.
또 쿠팡이 '영업 차질'을 이유로 오전·오후 조 편성 등 노동 구조 개선 제안을 일괄 거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쿠팡의 새벽배송이 공적 돌봄의 붕괴와 장시간 노동이 만든 구조적 모순의 결과라고 규정했다.
특히 쿠팡의 퇴직금 미지급 사건 불기소 과정에 외압이 있었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안권섭 특검이 임명되면서 쿠팡의 전관 방패 논란은 법적 책임 국면으로 넘어가고 있다.
노동계는 고용노동부가 특별감독 미착수 등으로 미온적 태도를 보이며 사태를 키웠다고 비판한다.
한선범 택배노조 정책국장은 '끊이지 않는 과로사, 이제 쿠팡이 답해야' 간담회 직후 "쿠팡은 해고위협과 과로 노동을 구조적으로 조성해 노동자를 쥐어짜 돈을 벌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일하는 사람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는 쿠팡의 노동 환경이 여러 사회적 문제를 촉발하자 그들은 전관 영입과 정경유착으로 이를 모면하려 하고 있다"며 "쿠팡의 방식은 사회 정의를 왜곡하고 법질서를 어지럽히는 범죄로 단죄돼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