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영미 부산시의원 "취약층 건강, 통합적 대응"
부산의 소아·청소년 입원률이 전국 평균의 1.5배, 서울의 두 배 수준에 달하는 등 주요 보건 지표에서 취약계층 건강안전망에 구조적인 문제가 드러났다.
국민의힘 문영미 부산시의원(복지환경위)은 13일 제332회 정례회 시민건강국 대상 행정사무감사에서 이 같은 상황을 지적하며 '취약계층 중심의 원인 분석과 통합적 대응' 마련을 촉구했다.
국립중앙의료원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의 '지역별 필수의료 통계'에 따르면 부산의 소아·청소년 입원률은 2023년 기준 인구 1000명당 121.2명으로 전국 평균(81.6명)의 1.5배이며,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다.
문 의원은 최근 5년간 단 한 번도 전국 평균 아래로 내려간 적이 없다는 점을 지적하며 "일시적 요인이 아닌 구조적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자살 관련 지표에 대해서는 "부산이 전국 평균 대비 일부 계층에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취약계층 중심의 예방·상담·연계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문 의원은 또 장애인 건강검진 수검률과 관련해 "등록장애인이 17만 명이 넘지만 검진기관 부족과 교통 접근성, 안내 미흡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수검률이 낮다"며 검진기관 확대·안내체계 개선·이동지원 강화 등 실질적 편의 향상을 강조했다.
문영미 의원은 "세 가지 분야가 다른 영역처럼 보이지만 결국 시민 누구나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건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도시 건강안전망 구축 문제라는 공통점이 있다"며 "지표 간 연관성과 취약계층 특성을 고려한 통합적 대응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