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사태에 "통신보안 이상 無" 외친 KT, 공포마케팅 역풍

조사단, 지난해 KT 서버 해킹은폐 정황 포착 안전 강조하며 고객 유치 … 국민 우롱 비판

2025-11-10     김은서 기자
▲ SK텔레콤 해킹사태 당시 다수의 KT 대리점에 '안전'을 내세우며 고객확보에 나섰다. ⓒ 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KT가 지난해 해킹 정황을 알고도 은폐한 사실이 드러나며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SKT 해킹사태 당시 '우린 안전하다'는 메시지로 고객을 유치하고 해킹피해 축소 발표 의혹 정황까지 발견돼 도덕성 논란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관합동 조사단 중간결과 발표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3∼7월 BPF도어·웹셸 등 악성코드에 감염된 서버 43대를 발견하고도 당국에 알리지 않고 자체처리했다.

조사 결과를 통해 유심키 등 그간 KT가 유출되지 않았다고 주장한 핵심 개인정보도 나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특히 BPF도어는 지난 4월 SK텔레콤 해킹사태에서도 사용된 악성코드로 서버 내부에 장기간 잠복하며 탐지를 피하는 은폐형 공격 수단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상황에서도 KT는 SK텔레콤 해킹사태 당시 안전하다는 메시지를 내세우며 소비자를 안심시키고 고객 유치를 시도했다.

지난 7월 SK텔레콤은 KT 불안조장 행위를 문제 삼아 방송통신위원회에 신고했다. KT가 유심 해킹 사고를 이용해 허위·기만 광고로 가입자를 유치했다는 것이다.

SK텔레콤 해킹사태 이후 다수의 KT대리점에서 "해킹은 내 정보를 털기 시작해 결국엔 내 인생이 털린다", "SK텔레콤이 위약금 없이 보내주는 이유는 막을 수 없기 때문" 등 자극적인 문구를 사용해 이용자 불안을 부추긴 것으로 알려졌다.

▲ 지난달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영섭 KT 대표(왼쪽)가 황정아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 국회방송

이같은 논란은 국정감사에서도 언급됐다.

지난달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최민희 의원은 김영섭 KT 대표에게 "KT 보수 차량을 보면 아직도 SK텔레콤 사고와 관련한 마케팅을 진행 중인데 왜 이렇게까지 하느냐"고 질의했다.

이에 김영섭 대표는 "즉각 시정하겠다"고 답했다.

국정감사에서는 KT의 피해규모 축소발표도 도마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실 자료에 따르면 KT 불법기지국 ID는 기존 4개에서 20개로, 불법기지국 접속 인원도 기존 2만30명에서 2만2000여명으로 늘어났다.

또 피해지역도 처음에는 서울서남부권이라고 밝혔지만 경기·서울·인천·강원 등으로 범위가 매우 크게 확장됐다.

황정아 의원은 "국민을 우습게 아는 처사"라며 "반복적이고 악의적인 은폐 행태에 대해 징벌적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