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소액결제 이어 서버침해 '보안 더블아웃'

소액결제 피해조사 범위 겨우 3개월 최수진 의원 "소극적 태도" 비판

2025-09-19     김은서 기자
▲ 서창석 KT 네트워크 부문장 부사장(왼쪽)과 김영섭 사장(가운데), 이현석 커스터머 부문장 부사장 등이 소액결제 피해와 관련해 고개 숙여 사과하고 있다. ⓒ 연합뉴스  

소액결제 사태로 비판을 받고 있는 KT에서 서버침해 정황까지 추가로 발견됐다.

KT는 19일 전날 오후 11시 57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서버침해 정황을 신고했다고 밝혔다.

KT는 SKT 해킹사고 발생 이후 정확한 실태점검을 위해 외부 보안전문 기업에 조사를 의뢰했으며 그 결과 서버침해 흔적 4건과 의심정황 2건이 발견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KT는 "향후 정부 조사에 적극 협조해 조속한 시일에 침해서버를 확정하고 구체적 내용과 원인규명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T에서 발표한 소액결제 피해정황이 최근 3개월에 한정된 조사결과로 드러나 소극대처 논란이 일고 있다.

19일 국민의 힘 최수진 의원(과방위)이 KT와 KISA에게 받은 자료에 따르면 KT가 전날 추가 발표한 △소액결제 피해자 362명 △피해액 2억4000만원 △이상 신호 수신자 2만명 등은 최근 3개월간 전수조사에서 집계한 수치다.

최수진 의원은 "추가피해 확인을 위해 소액결제 ARS 조사 범위를 더 늘려야 하는 상황에서 소극적인 대처로 소비자 우려를 키우고 있다"며 "이용자가 무단 소액결제 내용이 없는지 일일이 따져봐야 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난 10일 오후 5시 기준으로 접속이 이뤄진 KT 초소형 기지국은 15만7000대로 전체의 67.6%에 불과했고 나머지 7만5000대는 미접속 상태였다"며 "이들이 관리 사각지대에 놓인 상태가 아니라고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4만3000대만 조사하겠다는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KT는 "3개월간 전수조사 대상도 2000만건이 넘어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었다"며 "3개월 동안 사용이력이 없는 기지국 4만3000대를 2주 안으로 점검해 철거와 회수, 영구 접속 차단 등 범죄에 악용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