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청 '감염병 빅데이터' 민간 개방한다

2024-12-31     김미영 기자
▲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 인포그래픽. ⓒ 질병관리청

질병관리청은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해 데이터 개방 대상을 민간까지 확대한다고 31일 밝혔다.

지난 6월 개통한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은 질병청과 지자체를 대상으로 통계 자동산출이나 맞춤형 분석 등을 통해 방역업무를 지원하고 있다.

또 2022년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력(K-COV-N)을 통해 제공하고 있는 코로나19에 더해 자체적 데이터 개방 체계를 구축해 방역통합정보시스템으로 수집된 주요 데이터 중 전수감시 감염병 64종을 추가 공개한다.

자료 공개는 민간 연구진이 감염병 홈페이지에서 신청한 서류(연구계획서, 자료이용신청서 등)를 심의해 가명처리 후 제공할 계획이다.

지난 12일부터 표 형태로만 제공돼 한눈에 알아보기 어려웠던 기존 감염병 통계를 대시보드로 구축해 막대나 선그래프 등 시각화된 형태로 조회할 수 있도록 했다. 또  공공데이터 포털에서 OpenAPI를 제공하는 등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올해 질병청은  △의약품 수급 위험 예측모델 개발(식품의약품안전처) △K-CURE(국립암센터) △코로나19 환자치료 격차 분석(강원도 감염병관리지원단) 등 3건을 이용해 감염병 빅데이터플랫폼 데이터의 개방을 시작했다.

질병관리청 지영미 청장은 "감염병 정보의 개방을 통해 다양한 분야와 연계한 연구성과가 도출돼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감염병 빅데이터 플랫폼 개방을 확대해 연구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