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봉 "한전산업개발 위험의 외주화 여전"
발전 현장에서 여전히 '위험의 외주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한전산업개발의 재공영화가 지연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송재봉 의원(산자위·청주청원갑)은 14일 "2018년 12월 10일 태안 화력발전소에서 한국발전기술 계약직 김용균씨가 석탄 이송 컨베이어 벨트에 끼어 사망한 후로도 위험의 외주화가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위험의 외주화를 방지하기 위해 2020년 5월 통합 노·사·정 협의체는 한전산업개발을 한전의 자회사로 편입하고 연료와 환경설비 분야 직원들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송 의원은 합의 이후 3년이 지나도록 재공영화는 지연되고 있으며 여전히 발전 현장은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지적했다.
송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지분인수와 재공영화의 조속한 추진 필요성이 지적됐지만 한전은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며 "국정감사 후 한전은 삼정회계법인과 지분인수 자문용역 계약을 연장했지만 지난 1년간 실제 협의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라고 강조했다.
한전의 누적적자는 48조원에 달하는데 이는 재공영화 추진과 상충하는 상황이다.
또 최근 한전산업개발 주가가 급등하면서 인수 협상이 더욱 어려워졌다. 올해 상반기 한산 주가는 7700원에서 19500원으로 급등하며 자유총연맹 측의 인수 희망 가격도 높아졌다.
송재봉 의원은 "산업부도 재공영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세우지 않고 있으며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공문 발송조차 이뤄지지 않았다"며 "재공영화 추진과 상반되게 한전산업개발의 사장은 발전·정비와 관련 없는 국정원 출신의 함흥규가 임명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안전 강화를 위한 재공영화 추진이 필요하다"며 "정확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