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FETY in] 전기차 배터리 '혁신'에 '안전'을 더하라
친환경·무공해 장점 많지만 화재 나면 큰 피해 각종 법률적·제도적 뒷받침도 서둘러 마련해야
배터리는 현대 사회의 필수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았지만, 최근 잇따라 폭발 사고가 발생하며 안전성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탄소 중립이라는 포기할 수 없는 과제 속에서 배터리 기술은 안전성 강화라는 새로운 도전 상황에 직면했다.
세계 각국에선 이 같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과 관리 시스템 수요에 따라 강화된 안전 기준과 규제를 마련하고 있다.
리튬배터리를 대체할 차세대 기술로 가장 주목받는 존재는 전고체배터리다.
전고체배터리는 기존의 액체 전해질 대비 내열·내구성이 뛰어난 고체 전해질을 사용해 폭발 위험이 적다.
또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제공해 크기를 줄이면서도 용량은 증가시킬 수 있어 배터리의 무게를 경감시킨다.
그러나 전고체 배터리의 상용화에도 여전히 기술적 도전이 따른다.
고체 전해질의 특성상 액체 전해질보다 전도성이 낮아 효율이 떨어지는 데다 제조 과정에서의 비용이 훨씬 많이 든다.
현재 글로벌 기업들이 전고체 배터리 연구와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지만, 상용화까지는 아직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기존 기술을 최대한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사용하고자 추구되는 방법도 있다. 바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다.
BMS는 배터리의 효율적 사용과 안전성을 보장하는 핵심 기술로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과충전, 과방전, 과열을 방지한다.
BMS 기술은 특히 전기차와 같은 대형 배터리 시스템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현대차·기아, 테슬라 등 전기차 제조사들은 BMS 고도화를 통해 배터리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BMS는 배터리 안전성을 높이는 기능으로, 전기차 시장의 핵심 기술로 발전하고 있다.
BMS 기술 고도화에 이어 가장 화두가 되는 문제는 배터리 제조사 공개 의무화 제도다.
배터리 안전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는 전기차 제조사가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하도록 의무화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에선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2026년부터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하며 미국도 캘리포니아를 중심으로 의무화 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배터리 제조업체가 국가 안전 기준을 준수하는지 확인하는 인증 시스템을 강화하고, 이를 소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
국내에선 인천 청라 아파트 화재 차량인 벤츠의 배터리가 세계 1위 CATL 제품으로 알려졌던 것과 달리 10위 파라시스 제품이었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며 제조사 공개 의무화에 대한 요구가 커졌다.
정부는 배터리 제조사들이 자발적으로 정보를 공개하도록 권고하면서, 향후 이를 법제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배터리 안전 문제는 이제 특정 기업이나 제품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 공통 과제가 됐다.
각국의 정부와 국제기구들은 배터리 안전 기준과 규제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배터리 폭발 사고 증가로 우리는 기술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 서 있다.
전고체 배터리와 같은 차세대 기술, BMS의 발전, 강화된 안전 기준 등 다양한 접근이 결합돼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사용을 실현할 수 있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