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대기오염물질 농도 진단" … 대기질 박스 모델 공개
국립환경과학원이 지역규모 대기오염물질 농도 변화를 진단할 수 있도록 개발한 한국형 대기질 박스모델을 공개했다.
23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대기질 박스모델은 30㎞×30㎞ 공간(박스)에서 대기오염물질이 배출, 확산, 이동, 생성, 소멸되는 현상과 오염농도가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모의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2020년부터 초미세먼지와 오존 문제에 관심이 있는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 대학, 연구소, 민간인 등 다양한 범위의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한국형 대기질 박스모델(KAB)을 개발해왔다.
이 모델은 오염물질이 대기 중에서 생성되는 중요한 반응 과정과 이를 저감하기 위해 필요한 정책 방향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시각화 도구를 포함해 개발됐다.
한국형 대기질 박스모델은 국립환경과학원과 에어코리아 홈페이지에서 내려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명서와 예제 자료 등도 제공된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한국형 대기질 박스모델에 대한 사용자들의 개선 요구사항을 지속적으로 반영해 성능을 향상시키고 향후 개선된 모델을 홈페이지에 공개할 예정이다.
대기분야 주요 학회와 연계해 공개된 모델에 대해 연구한 결과를 국내 연구진들과 공유하고 향후 추가 개선 방안도 도출해 모델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할 계획이다.
유명수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한국형 대기질 박스모델 공개는 주요 광역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중소규모 지역에서 발생하는 대기오염 문제까지 심도 있게 연구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한다"며 "지역 맞춤 대기질 연구와 이를 통한 지역 대기질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