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1만5000원은 담합" … 시민단체, 공정위에 극장 3사 신고

2024-06-26     김나은 기자
▲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시민단체가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를 티켓 가격 담합·폭리 혐의로 공정위에 신고했다. ⓒ CJ CGV

최근 주말 영화 티켓값이 일제히 오르자 시민단체들이 담합으로 의심된다며 공정거래위원회에 신고했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안산소비자단체협의회 등 시민단체는 26일 서울 CGV 용산아이파크몰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 등 멀티플렉스 3사를 티켓 가격 담합·폭리 혐의로 공정위에 신고했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멀티플렉스 3사의 영화 티켓값이 코로나 이후 1~2개월 사이에 1만2000원에서 1만5000원으로 인상된 것은 담합에 의한 결과라는 의심이 들지 않을 수 없다"며 "티켓값 폭리가 관객들의 부담을 늘리는 것을 넘어 영화계 전체를 생사의 위기로 내몰고 있다"고 비판했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CGV·롯데시네마·메가박스는 국내 멀티플렉스 영화관의 97%를 차지하는 과점 사업자들이다.

이들은 코로나19 시기 관객이 축소하고 적자가 커지자 2019년 주말 기준 1만2000원이던 영화 티켓 가격을 2020년과 2021년, 2022년 세 차례에 걸쳐 1000원씩 동일하게 인상했다. 

그 결과 2020년부터 2022년까지 영화 티켓의 가격 인상률은 25%에서 40%까지 급격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같은 시기 평균 물가상승률(3.2%)의 12배에 달할만큼 큰 폭의 인상이었다. 

시민단체들은 "멀티플렉스 3사가 티켓가격을 인상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적자를 이유로 들었지만 코로나19가 종식된지 꽤 오랜 시간이 지났고 1위 사업자인 CGV가 흑자로 전환된만큼 티켓가격을 코로나19 이전으로 정상화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하영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운영위원은 "티켓가격이 인상되면서 관객들은 영화제작자들도 돈을 더 버는 것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제작사, 배급사와 수익 정산을 하는 기준인 객단가는 오히려 떨어져 이익이 줄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소비자시민사회단체들의 티켓값 인하 요구와 더불어 객단가의 정상화, 통신사·카드사 할인 비용 떠넘기기 등이 해결돼야 영화계가 다시 일어날 수 있다"며 "다음 주에는 영화계와 소비자·시민단체가 연대해 불투명한 객단가 문제와 각종 할인비용 떠넘기기 불공정 행위도 공정위에 신고할 계획"이라고 말했다.